검찰청 사칭한 보이스피싱 다시 활개...가짜 대검찰청 홈페이지 유도
신뢰할 수 있는 정부기관 도메인(URL) go.kr 항상 확인해야
[보안뉴스 민세아] 웬만한 보이스피싱으로는 더 이상 속일 수 없다는 것을 알았을까? 보이스피싱 수법이 점점 고도화되고 있는 가운데 보이스피싱과 검찰청을 사칭한 피싱이 연계되어 사용자들을 혼란스럽게 만들고 있다.
일반적으로 범죄자는 자신을 검찰청 수사관이라 밝히면서 피해자 명의로 된 불법대포통장이 발견됐다며 접근한다. 범죄자는 사전에 피해자의 개인정보를 알고 있을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이를 들먹이며 보이스피싱이라고 의심하지 못하게 만든다.
예전 보이스피싱이라면 전화로 범죄자가 불러주는 계좌에 돈을 입금하게 만들었겠지만 최근에는 범죄자가 만든 검찰청 피싱사이트로 유도하는 치밀함을 보인다. 대검찰청 혹은 서울중앙지방검찰청 피싱사이트는 실제 웹사이트와 매우 유사하게 만들어져있으며, 전화를 통해 ‘빠른 민원 서비스’-‘나의 사건 조회’에 접속해 형사사법포털로 위장한 피싱사이트로 유도한다.
형사사법포털에서 사건조회를 위해 이름과 주민번호를 적고 실명확인 버튼을 누르면 아래와 같은 조사 안건이 뜨게 된다. 피해자가 실명확인에 사용한 이름과 주민번호가 기재돼 있어 피해자들에게 공포심을 유발한다. 그러나 해당 실명확인은 입력한 값에 따라 접수인과 접수인의 주민번호가 바뀌어 출력되는 것이다.
▲사건조회 조사 안건(출처 : 울지 않는 벌새)
이후 현재 계좌가 사기거래와 연관되었으니 수사 중에는 검찰에서 운영하는 통장에 이체해 두라며 대포통장을 안내한다. 피해자가 인터넷뱅킹을 이용하지 않는 경우 직접 은행을 방문해 범죄자들이 사전에 준비한 대포통장에 돈을 이체하도록 유도한다.
인터넷뱅킹 이용자들에게는 범죄자가 미리 만들어놓은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파밍사이트로 접속을 유도해 피해자 인적사항, 입출금계좌, 예금주, 은행명, 계좌비밀번호 등의 금융정보를 모두 입력하게 만들어 금전적 피해를 유발한다.
또한, 안드로이드(Android) 스마트폰 사용자의 경우 검찰청 피싱사이트에서 ‘증명서 발급’ 버튼을 눌러 모바일 백신으로 위장한 ‘검찰청 안내’ 악성 앱을 설치하게 만든다. 해당 악성 앱은 SMS, 통화기록, 주소록, SD카드, 시스템 도구 등에 접근이 가능하다.
▲검찰청 악성 앱(출처 : 울지 않는 벌새)
이들은 spo-nhl.com, spo-ser.com, spo-cvc.com 등의 피싱사이트로 유도하면서 원래의 대검찰청 홈페이지인 www.spo.go.kr에서 URL을 교묘히 바꿔 혼란을 야기하고 있다.
해당 사기수법은 2011년부터 계속해서 쓰였던 방법이지만 피해자를 검찰청 홈페이지로 유도해 피해자의 이름과 주민번호가 들어간 조사 안건을 직접 보여줌으로써 의심하지 못하게 만든다. 검찰은 절대로 계좌번호와 계좌비밀번호를 물어보지 않는다는 것을 다시 한번 숙지하고 주의해야 한다.
[민세아 기자(boan5@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http://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