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프라 확충·이중화, 문서유통 편의성 향상 등
행정안전부(장관 이달곤)는 ‘정부전자문서유통시스템 확충사업’을 완료하고, 지난 15일 중앙청사 별관 강당에서 중앙부처, 시도· 군구 및 공공기관 문서유통 담당자가 참석한 가운데 완료보고회를 개최했다.
‘정부전자문서유통시스템 확충사업’은 정부와 공공기관의 공문서 전자전달체계인 ‘정부전자문서유통시스템’의 인프라를 확충·이중화하고, 공공기관에 대한 문서유통의 편의성을 향상하는 등의 기능개선을 골자로 한 사업이다.
행안부는 금번 사업을 통해, 그동안 노후화되어 제 성능을 발휘하지 못하던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 대한 장비 보강과 이중화를 통해 서비스의 운영능력을 개선하고 장애발생에 대비한 신뢰성을 확보했다.
또한 공공기관은 전자문서유통 시 대표기관으로만 문서가 유통되어 지방에 위치한 지사에는 사실상 전자적 문서유통이 안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공공기관의 부서와 지사까지도 문서유통이 가능하도록 기관코드를 다중으로 부여하는 방식으로 전환, 5개 공공기관에 시범서비스를 실시하게 됐다.
이밖에도 그간 행안부에서 발급된 행정전자서명 인증서만 사용이 가능하던 것이, 교육과학기술부에서 발급된 행정전자서명 인증서까지도 호환되도록 서비스를 개편했다.
현재 정부전자문서유통서비스는 45개 중앙행정기관, 248개 지방자치단체와 294개 교육청과 국공립대학, 342개 공공기관을 포함, 총 1,283개 기관이 활용하고 있는 범정부적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은 행정기관과 공공기관 간 공문서 전달을 전자화함으로써, 문서유통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하고, 행정의 신속성과 신뢰성을 높이는 한편, 행정비용을 절감하는 시스템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특히 이번 사업은 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DBMS)과 메시지엔진 부문 등 소프트웨어를 분리 발주한 사례로써, 공공부문 정보화사업에 중소 소프트웨어 기업의 참여를 유도한 모범 사례로 꼽힌다.
한편 행안부 한 관계자는 “앞으로 전자문서유통서비스를 통한 성과를 적극 확산하기 위해 현재 전자문서유통서비스를 활용하지 않고 있는 공공기관에 대한 서비스 확산에 주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정완 기자(boan3@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