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르면 오는 2028년 ‘지식재산(IP)정보 분석 플랫폼’이 신규 구축·오픈된다. 이를 위해 정부는 내달 관련 사업 발주에 착수한다.
윤기웅 지식재산처 지식재산정보정책과장은 26일 서울 역삼동 조선팰리스 호텔서 열린 ‘지식재산정보 정책포럼’에 참석해 이같이 밝히고, 내년부터 이와 관련된 ‘3개년 정보화 사업’을 진행한다고 말했다.

▲이날 포럼에 참석한 김용선 지식재산처장(앞줄 왼쪽 5번째)과 장철민 의원(더불어민주당·4번째), 고기석 KAIPS회장(3번째) 등이 기념 촬영하고 있다. [자료: IP전략연구소]
이날 윤 과장은 “전 세계 6억건 넘는 IP 빅데이터를 전략적으로 활용, 미래기술을 선점하고 기업혁신 성장을 지원하려 한다”며 “이를 위해 R&D 및 경제안보 분야에서 특허 빅데이터를 보다 쉽고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공공 차원의 분석 플랫폼이 필요한 실정”이라고 사업 배경을 설명했다.
지재처는 기확보된 내년도 예산(100억원)을 통해, △출원인 명칭 정비 △권리변동 이력 정비 △IP-이종분류 연계 등을 골자로 한 ‘제1차년도 정보화계획’에 돌입한다. 해당 사업과제도 내달 발주한다.
윤 과장은 “미국(Patents View)과 유럽(Deep Tech Finder) 등은 이미 공공 차원에서 다양한 통계와 분석 내용을 시각화 서비스를 통해 대민 지원하고 있다”며 “(분석 플랫폼은) 상대적으로 단순 통계 제공에 머물고 있는 현행 국내 공공 서비스 지원을 고도화한다는 의미”라고 강조했다.
IP분석 플랫폼이 신규 구축되면, 범부처내 ‘경제안보 관제 서비스’와 ‘R&D 정책 지원 서비스’로 연계된다. IP융합 통계·지표 서비스는 민간에도 개방·지원된다.
한편, 이날 포럼 행사에는 김용선 지식재산처장(앞줄 왼쪽 5번째)과 장철민 의원(더불어민주당·앞줄 왼쪽 4번째), 고기석 한국지식재산서비스협회(KAIPS) 회장(앞줄 왼쪽 3번째) 등이 참석했다.
[IP전략연구소 (kdong@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