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스위치 제품 & 솔루션 집중분석 : 솔텍인포넷, 한드림넷
[보안뉴스 엄호식 기자] 도시의 눈이 되어가는 CCTV, 그 영상은 단순히 찍히는 것만으로는 의미가 없다. 실시간 전송, 고해상도 분석, 끊김이 없는 저장까지 이 모든 과정의 중심엔 네트워크 스위치가 있다. 영상보안 시스템은 점점 더 지능화되고 있으며, 그에 따라 네트워크 인프라의 역할도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특히 스위치는 수많은 카메라의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연결하고, 보안성과 확장성을 동시에 요구받는다. 이제 단순한 연결 장비를 넘어 보안의 핵심 기술로 진화 중인 네트워크 스위치. 그 기술의 현재와 미래를 들여다본다.

[자료: gettyimagesbank]
네트워크 스위치 시장은 고성능 데이터 관리 솔루션에 대한 수요 증가에 따라 꾸준하게 성장하고 있다. 네트워크를 통한 비디오와 중요 데이터를 다루는 만큼, 스위치 자체의 보안 기능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으며, 외부 침입이나 해킹으로 인한 영상 데이터 유출 등을 대비하려는 기관이 많아지고 있어 관련 표준 준수와 보안 감사, 인증이 점점 중요해지고 있다. 또한 전력 공급과 데이터 전송을 하나의 케이블로 처리할 수 있는 POE(Power over Ethernet) 기술은 영상보안과 더불어 스마트 오피스, 보안 시스템, IoT 환경 구축의 핵심 요소로 떠오르고 있다.
Global Growth Insights의 자료에 따르면 네트워크 스위치 시장은 2024년 383억1500만달러로 평가됐으며, 연평균 4.7%의 성장률로 2033년에는 466억1700만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시장의 전환으로 모듈식 스위치의 수요가 22%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고정된 관리 스위치는 엔터프라이즈 환경에서 보안 및 제어를 제공하고 18%의 성장률을 기록하며 꾸준히 인기를 얻고 있다.
자동화 및 실시간 데이터 처리로 구동되는 산업 부문은 이더넷 스위치 요구의 증가로 35%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다. 또한 Market Research Intellect는 전 세계 POE 스위치 시장 규모가 2024년 35억달러를 달성했으며 12.3%의 연평균 성장률로 2033년에는 78억달러에 이를 것으로 분석했다.
특히 Market Research Intellect는 POE 스위치 시장이 지능형 기반의 채택과 IoT 장치의 확산으로 강력한 성장을 이루고 있다고 강조했다. 스마트 건물을 비롯해 도시 및 산업 자동화에서 POE 스위치를 통합하면 단일 케이블을 통해 전력과 데이터를 모두 전달해 설치를 단순화하고 비용을 줄임으로써 네트워크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IEEE 802.3 BT와 같은 POE 표준의 발전은 더 높은 전력 전달을 가능하게 해 광범위한 장치를 수용할 수 있다.
네트워크 스위치 시장 성장의 흐름은 업계도 동조하는 분위기다.
“지자체와 대형 기관의 영상보안장비 시장이 확대됨에 따라 임대망에서 자가 통신망으로 신규 구축하는 시장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5G 네트워크로 고도화하면서 데이터 트래픽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대용량 데이터를 원활하게 처리하기 위한 고성능 네트워크 스위치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국내 네트워크 스위치 시장은 클라우드와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등 디지털 전환의 핵심 인프라로 꾸준한 성장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합니다. 특히 고속, 고성능, 보안 기능이 강화된 스위치에 대한 수요가 시장 성장을 견인할 것으로 보입니다.”
“클라우드 전환과 데이터센터의 확장, IoT 및 엣지 컴퓨팅 확산 등을 핵심 성장 동인으로 네트워크 시장은 꾸준한 성장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합니다.”
“네트워크 스위치 시장은 클라우드 기반 관리와 POE++ 수요, 멀티기가 환경 확산이 키워드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영상보안과 와이파이(Wi-Fi)6·7 도입, IoT 기기의 확산으로 인해 고속 업 링크와 고출력 POE 지원 스위치에 대한 수요가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합니다. 또한 ESG 기도에 따라 에너지 효율과 친환경 설계 역시 중요한 평가 요소가 될 것입니다.”
네트워크 스위치의 구분
네트워크 스위치는 △비 관리형 스위치 △스마트 스위치 △관리형 스위치 △POE 스위치 △L2 스위치 △L3 스위치 △아웃도어 스위치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네트워크 스위치의 특징과 용도 [자료: 보안뉴스]
비 관리형 스위치는 설정 없이 바로 사용할 수 있으며 가격이 저렴하고 설치가 간편해 가정이나 소규모 사무실의 단순한 네트워크 연결에 적합하다.
스마트 스위치는 가상 랜(VLAN)과 속도제어(QoS) 등 일부 관리 기능을 제공하며, 직관적인 설정이 가능하다. 이는 중소기업이나 간단한 네트워크 구성에 적합하며, 기본적인 제어가 필요한 환경에 주로 사용된다.
관리형 스위치는 VLAN과 SNMP, ACL 등 고급 네트워크 제어 기능을 지원하며 보안성이 뛰어나 대규모 네트워크나 데이터 센터에서 유연한 트래픽 관리와 고성능이 필요한 경우에 사용한다.
POE 스위치는 데이터와 전력을 동시에 공급하며, IEEE 802.3af/at/bt 표준을 따른다. 이는 IP 카메라(CCTV)와 VolP, 무선 AP 등 전원 공급이 어려운 장비 설치에 유용하다.
L2 스위치는 MAC 주소 기반으로 프레임을 전달하며 VLAN 등 기본 기능을 지원한다. 빠른 처리 속도로 단일 네트워크 세그먼트에서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이 필요한 일반 사무실에 적합하다.
L3 스위치는 IP 주소 기반의 라우팅이 가능하며 L2 기능 포함한 고급 네트워크 제어를 지원해 여러 서브넷을 연결하거나 고속 라우팅이 필요한 데이터센터 등 대규모 네트워크 환경에 적합하다.
아웃도어 스위치는 방수·방진, 온도 내성 등 내구성이 뛰어나며, 혹독한 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작동한다. 이는 공장이나 교통 인프라, 야외 설치 등 산업 현장에 적합하다.
네트워크 스위치, 전 산업 분야에서 러브콜
네트워크 스위치는 산업 전 분야에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스마트 팩토리의 경우 기존 Modbus, Profibus 등 시리얼 통신 환경에서 Modbus TCP, Profinet 등 이더넷 기반으로 전환되며 이에 따른 스위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에너지 분야는 아날로그 변전소가 디지털 변전소로 전환되면서 IEC 61850-3 기반 스위치가 디지털 변전소 운영 시스템의 핵심 인프라로 활용되고 있다. 배터리 에너지 저장장치(BESS: Battery Energy Storage System) 시장의 활성화에 따라 BMS, PCS, EMS 영역에서도 많은 스위치 제품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데이터센터 또한 클라우드 서비스와 AI 기술 발전으로 초대규모 데이터센터가 확산되면서 시스템 간 연결을 위한 이더넷 스위치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철도·선박의 사이버 보안 요구, 지능형 교통 시스템(ITS) 등 교통 인프라 전반에서도 네트워크 스위치는 성장 가능성이 기대된다.
“대규모 카메라와 IoT 센서 네트워크가 필요한 정부와 지자체 주도로 추진되는 도시 보안과 지능형 기반 사업도 꾸준하게 확대되고 있어 POE 스위치 수요가 지속해서 증가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기업의 클라우드 데이터 센터 및 스마트 공장과 스마트 도시뿐만 아니라 영상 보안 시장도 지속 성장할 것으로 보여 스위치 수요는 성장세를 이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글로벌 기술력, 차곡차곡 쌓아가야 할 숙제
국내 네트워크 스위치 기술은 최고의 글로벌 기업의 기술 수준에 비해 다소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평가는 시스코(CISCO) 등 외산 기업들이 장악하고 있는 백본 스위치 등과 같은 고성능의 핵심 장비 시장에 해당하며, 이외의 시장에서는 경쟁력을 갖추고 기술의 발전을 위해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국내 기업들은 주로 중소형 스위치나 특정 분야의 맞춤형 솔루션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으며, 정부 R&D 과제 등을 통해 기술 격차 해소에 나서고 있습니다.”
“우리 기업들은 반도체와 통신장비 분야에서 오랜 기간 축적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하드웨어 설계와 제조에서 높은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는 제품의 내구성과 신뢰성을 확보하는 데 중요한 기반이 되며, 글로벌 시장에서도 품질 측면에서 인정받을 수 있는 요소로 작용합니다.”
“고밀도의 설치 경험과 POE 기술, 산업용과 옥외 환경 대응 기술 그리고 네트워크 관리 기능 통합 측면에서 한국 네트워크 스위치 산업은 세계 수준에 근접해 있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원천 칩셋이나 초고속 인터페이스, 브랜드 인지도, 글로벌 인증이나 보안 요구사항의 대응 등에서는 개선의 여지가 남아 있습니다.”
“국내 네트워크 스위치 기술은 글로벌 시장에서 잠재적인 추격자로 평가됩니다. 세계 시장을 선도하는 수준은 아니지만, 세계 최고 수준의 테스트베드로 활용되는 국내 인프라와 우수한 응용 기술, 소프트웨어 역량 등은 경쟁력 강화에 매우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POE 스위치는 다양한 산업 영역에서 국산 제품의 사용 비중이 높은 편입니다. 다만 특정 산업 표준을 요구하는 영역에서는 아직 시장의 신뢰를 확보하지 못한 것으로 생각합니다.”



▲국내 주요 기업의 네트워크 스위치 제품 & 솔루션 [자료: 각 사 제공, 보안뉴스 정리]
설문조사로 본 네트워크 스위치 인식과 기술 신뢰도
보안산업 종사자 및 사용자들은 네트워크 스위치 제품과 솔루션에 대해 어떤 생각을 하고 있을까? 이번 설문은 ‘시큐리티월드’와 ‘보안뉴스’ 온라인 회원을 대상으로 9월 22일부터 24일까지 진행했으며, 총 382명이 참여했다.
먼저 주로 사용하는 스위치 제품은 ‘일반 스위치’가 72.8%로 27.2%의 ‘보안 스위치’보다 약 2.6배 높았다.
네트워크 스위치 선택 시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소로는 35.6%가 ‘성능 및 스펙’을 선택했다. 이어 ‘가격 및 예산’이 35.1%로 근소한 차이를 보였으며, ‘관리 기능 및 인터페이스’가 18.8%를 보였다.
POE 스위치를 사용해 본 경험이 있느냐는 질문에는 70.2%가 ‘사용해 봤다’라고 답했으며, 20.9%는 ‘사용해 보지 않았다’ 그리고 8.9%는 ‘아직 사용해 보지 않았지만 사용해 볼 예정이다’라는 답을 선택했다.
POE 스위치의 주 사용 용도로는 ‘무선 AP’가 57.6%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IP 카메라(CCTV)’가 23.0%. ‘VolP 전화기’가 17.8%였다.
CCTV 시스템에서 POE 스위치 사용 시 가장 주의해야 할 것으로는 49.2%가 ‘POE 스위치의 안정성’을 택했다. 이어 ‘POE 스위치의 보안 설정 강화’가 37.2%, ‘POE 스위치의 용량’ 8.9% 등의 순이었다.

▲설문조사로 본 네트워크 스위치 인식과 기술 신뢰도 [자료: 보안뉴스]
기술의 발전만큼 중요해진 보안, 사용자의 인식 개선 필요
“네트워크를 통한 비디오와 중요 데이터를 다루는 만큼, 스위치 자체의 보안 기능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또한 외부 침입, 해킹으로 인한 영상 데이터 유출 등을 대비하려는 기관이 많아지고 있어 관련 표준 준수, 보안 감사, 인증 등이 점점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업계 관계자의 말대로 네트워크 스위치 시장이 활발해지는 만큼 ‘보안’이라는 키워드는 더 중요해지고 있다.
“가장 우선은 보안성이 높은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제일 중요합니다. 그것이 외부 침입이나 해킹을 막는 첫 번째 단계이기 때문이죠. 하지만 또 하나 중요한 것은 이러한 보안과 관련한 유지보수를 지속해야 합니다.”
이는 시간이 흐를수록 외부 침입이나 해킹 등의 방법이 교묘해지고 있어 이에 대한 대응이 필요하다는 뜻이다.
“침입을 막는 것도 중요하지만 분산해 들어온 공격 요소들이 일정 기간 잠복 후 정보를 빼가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위험을 차단하고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지속적인 관리 서비스를 사용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방산이더넷보드 [자료: 솔텍인포넷]
[네트워크 스위치 제품 & 솔루션 집중분석-1] 솔텍인포넷
솔텍인포넷의 이더넷 통신 기술, SONOS가 여는 네트워크의 미래
단 한 번의 네트워크 장애는 스마트 빌딩, CCTV, IoT, 그리고 관제 시스템과 같은 IT 인프라 전체를 마비시키는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시장은 이제 단순한 장비를 넘어, 안정성, 보안, 관리 편의성을 동시에 갖춘 완성도 높은 스위치 솔루션을 요구한다. 솔텍인포넷은 이러한 복합적인 사용자 요구에 대한 해답으로 자사의 독자적인 네트워크 운영체제 SONOS(Soltech One Network OS)를 기반으로 한 국산 이더넷 통신 네트워크 솔루션을 제시하고 있다.
국산화 기반의 안정성
네트워크 인프라 장비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가치는 안정성이다. 솔텍인포넷 스위치는 하드웨어부터 소프트웨어, 케이스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을 국산화해 개발, 생산함으로써 최고 수준의 품질을 확보했다.
특히, SONOS는 일반적인 리눅스 커널 대신 안정성이 검증된 RTOS(실시간 운영체제: Real-Time Operating System) 커널을 적용해 NOS 시스템의 근본적인 안정성을 극대화했다. 부팅 과정에서 하드웨어 및 이미지 무결성을 자동 검증하며, ‘DualBank OS/Config’ 제공을 통해 전원 차단 상황에서도 안전한 복구가 가능하다. 실제 전원 단절 시에도 20초 이내 빠른 부팅을 지원해 서비스 단절을 최소화한다.
또한, 다품종 스위치 장비에 유연하게 대응하며 기능 및 품질이 일괄 점진적으로 향상되는 ‘ONE-IMG’ S/W 플랫폼 정책으로 장비 완성도를 한층 높였다.
보안 인증(보안기능확인서)으로 증명한 신뢰성
안정성 위에 강력한 보안이 더해질 때 비로소 완전한 네트워크가 완성된다. 솔텍인포넷은 RTOS 커널 기반 구조로 악성코드 실행을 원천 차단하고, 국가정보원 보안기능확인서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보안취약성 가이드에 부합하는 철저한 보안성을 제공한다.
또한, 2025년 총 50여 종의 보안 인증 장비를 보유하고 있으며, 군·공공기관에서 요구하는 특화 기능(Root ID 변경, DoS Defense, Port Scan 대응)을 선제적으로 지원한다.
이를 통해 별도의 타사 장비 혼합 없이 솔텍인포넷의 단일 구성으로도 완벽한 보안 적합망을 구축할 수 있어, 망 보안과 일원화된 관리 편의성을 동시에 확보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관리 효율성을 높이는 사용자 경험
현장의 운영자가 가장 먼저 묻는 질문은 “얼마나 쉽게 관리할 수 있는가”이다. 솔텍인포넷은 직관적이고 일원화된 사용자 경험(UX)을 목표로 관리 편의성을 강화했다.
Cisco-Like CLI, WEB UI, SNMP(v2/v3)는 물론 통합 한·영 매뉴얼을 일괄 제공해 관리 장벽을 낮췄다. 특히, 실제 H/W 장비의 외형과 LED 상태를 그대로 반영한 웹 UI, 웹 기능 검색 및 즐겨찾기, 장비군별 웹테마는 사용자 경험을 한층 더 개선했다. 또한, 현장에서 ScanManager(솔텍인포넷 장비 PC Management Tool)를 통해 IP 설정 전에도 장비 탐색 및 초기 설정이 가능하며, Find My-Switch 기능을 활용해 장비 위치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현장의 효율성과 긍정적인 UX를 이끌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입증된 POE 단말 호환성
전력 공급과 자동화 기능은 오늘날 네트워크 장비 선택의 중요한 기준이다. 솔텍인포넷은 PD Alive, PD Reset, PSE Detect, PD Scheduler 등 다양한 POE 편의 기능을 제공하며, Sifos POE 계측기 테스트를 통해 100%에 가까운 표준 POE 단말 호환성을 입증했다.
또한, Quick ERPS와 S-Ring 기능을 통해 장애가 발생할 시 20~30ms 이내 절체가 가능해 끊김 없는 서비스를 보장한다.
여기에 SFP Full-Auto 기능을 적용해 모듈의 종류를 자동 인지·설정함으로써 현장 관리자의 초기 설정과 운영 부담을 줄이고, 업무 효율성을 높였다.

▲보안인증 제품 세트 [자료: 솔텍인포넷]
SONOS로 확장하는 네트워크 생태계
올해 솔텍인포넷은 SONOS 기반 신제품군을 통해 기술 영역을 한 단계 확장했다. 대표적으로 산업 현장에 최적화된 10G 스위치 SFC6810 시리즈는 고속 전송 성능과 극한 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동작하는 설계를 갖추어 제조·플랜트 현장의 보안망 구축에 적합하다.
또한 데이터센터와 대규모 네트워크 수요에 대응하는 SFC6400·6410 시리즈는 대용량 트래픽을 처리하면서 이중화와 보안 기능을 강화해 안정적인 운영을 지원한다.
여기에 전원 이중화 구조를 적용한 SFC4100BT 시리즈는 장애 발생 시 자동 절체를 통해 서비스 연속성을 보장하며, 국내 최초로 개발된 이더넷 방산보드 MSFC1000 시리즈는 군·방산 분야의 특수 보안망 수요에 대응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이들 신제품은 솔텍인포넷이 축적해 온 안정성과 보안성을 기반으로 시장의 다양한 요구를 반영해 출시된 것으로, 단순한 네트워크 장비 제조를 넘어 ODM(Original Design Manufacturing) 기반의 글로벌 기술 기업으로 도약하는 발판이 되고 있다.
이더넷 통신 기술 확장: 방위산업에서 다양한 산업 전반까지
솔텍인포넷은 이제 단순히 스위치를 공급하는 기업을 넘어, 고객 맞춤형 네트워크 기술을 제공하는 제조업자 개발생산(ODM) 전문 기업으로 전환하고 있다.
산업용 POE-bt, 산업용 10G, 산업용 NBase-T, 다포트 집선, 전원 이중화 등 100종 이상의 다양한 스위치 라인업과 방산 보드까지 확장한 포트폴리오는 ‘국산 네트워크의 자존심’이라는 위상을 넘어, 다양한 산업의 고유한 요구를 충족하는 신뢰성 높은 대안을 제시하며, 솔텍인포넷은 독자적인 SONOS를 중심으로 네트워크 생태계를 구축하며, 국내외 시장으로 그 영향력을 확장해 나가고 있다.

▲ISG산업용 보안스위치 IP CCTV 특화 기능과 영상보안 강화 [자료: 한드림넷]
[네트워크 스위치 제품 & 솔루션 집중분석 2] 한드림넷
한드림넷 ISG2000시리즈, 세계 최초 산업용 보안스위치
제어설비, IP CCTV, IoT 네트워크 환경에 최적의 보안으로 서비스 연속성 보장
우리 사회는 수많은 CCTV의 ‘보이지 않는 눈’을 통해 더욱 안전해지고 있다. 범죄 예방부터 교통의 흐름 분석, 그리고 산업 현장의 안전 관리까지, CCTV는 이제 우리 삶의 필수적인 파수꾼 역할을 하고 있다. 동시에, 산업 현장에서는 수많은 제어설비와 IoT 센서들로 생산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해 스마트 팩토리와 같은 디지털 전환을 확대하고 있다.
하지만 이 편리하고 안전한 시스템의 이면에는, 이를 안정적으로 운영해야 하는 관리자들의 숨은 고충이 있다. 수천 대의 IP 카메라, 수만 개의 IoT 센서와 제어설비가 광범위한 지역에 흩어져 있다 보니, 사소한 장애 하나가 전체 시스템의 마비로 이어질 수 있다. 하나의 단말이 멈추는 것을 넘어, 생산 라인에 통신 에러가 발생하면 공장 전체가 멈출 수 있다. 일시적인 오류로 멈춘 장비를 재부팅하기 위해 매번 현장으로 달려가는 것은 시간과 인력의 낭비이며, 생산성 저하와도 직결되는 문제다.
여기에 네트워크 보안 문제까지 겹치면 상황은 더욱 심각해진다. 작업자의 케이블 연결 실수(Looping)는 CCTV 영상 누락은 물론, 전체 산업용 네트워크를 마비시킬 수 있다. 외부로부터의 해킹이나, 악성코드 감염은 영상 정보 유출을 넘어, 제어 시스템을 오작동시키거나 생산 데이터를 위변조해 막대한 금전적 피해를 유발할 수 있다. 관리자는 언제 터질지 모르는 장애와 보안 위협에 항상 대비해야 하는 큰 부담감을 안고 있다.
한드림넷의 ISG(Industrial SubGate) 산업용 보안스위치가 이러한 현장의 복합적인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솔루션으로 주목받고 있다. 단순한 네트워크 연결을 넘어, 시스템을 안정적으로 운영하고 신뢰할 수 있는 네트워크 보안을 제공해 관리자가 비효율적인 현장 업무에서 벗어나 더욱 중요한 시스템 관리와 운영 효율성 향상에 집중할 수 있게 도와준다.
클릭 한 번의 원격 제어로 장애 해결, 강력한 보안 엔진으로 영상 유출 방지
ISG산업용 보안스위치는 유지보수의 어려움을 획기적으로 개선했다. 관리자는 더 이상 카메라와 원거리 단말의 재부팅을 위해 현장으로 달려갈 필요가 없다. 중앙 관제실에서 클릭 한 번으로 문제가 생긴 카메라에 연결된 POE 포트의 전원을 원격으로 리셋하거나, 스위치 자체를 원격 재부팅해 신속하게 장애를 복구할 수 있다.
또한, MDS(Multi-Dimension Security) 보안 엔진이 탑재돼, IP 카메라와 NVR 사이에 오가는 모든 데이터를 보호해 ARP 스푸핑(Spoofing)과 같은 지능적인 공격을 원천 차단해 영상 정보의 탈취, 도·감청이나 위변조를 막는다.
효율적인 단말 제어, 효과적인 네트워크 장비 운영으로 최적의 관리 가능
ISG 산업용 보안스위치는 자체 네트워크 통합관리 솔루션인 VIPM(Visual IP Manager)으로 광범위하게 분산돼 있는 스위치를 한 화면에서 간편하게 관리할 수 있다. 특히, 네트워크 접근제어(NAC)를 위한 별도의 Sensor·Probe 설치 없이도 스위치가 센서 역할을 해, 스위치 포트에서 패킷을 직접 차단할 수 있어 허가되지 않은 기기에 대한 완벽한 제어가 가능하다. 또한, ‘케이블 루핑’을 자동으로 차단해 전체 네트워크로의 장애 확산을 방지한다.

▲네트워크, 보안, 매니지먼트 통합관리 지원 [자료: 한드림넷]
ISG 산업용 보안스위치, 보안 인증과 국산 장비 인증으로 증명
스마트 팩토리, CCTV 관제망과 같은 산업용 네트워크는 단 1초의 장애나 아주 작은 보안 허점도 용납되지 않는 ‘무중단’, ‘무결점’이 생명이다.
수많은 제품이 ‘안정성’과 ‘보안’을 내세우지만, 한드림넷 ISG 산업용 보안스위치는 공공 및 국방 분야에 제품을 공급할 수 있는 필수 요건으로 국가정보원의 까다로운 보안 요구사항과 검증 기준을 통과해 전 모델 ‘보안기능확인서’를 획득했고, 한국네트워크산업협회에서 검증하는 ‘국산 네트워크 장비 인증(KNEC)’을 확보해 단순한 스펙, 가격 비교를 넘어 엄격한 품질 및 성능 기준을 통과하며, 제품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객관적으로 검증받았다.
또한, 산업 현장은 저마다 다른 네트워크 환경과 요구사항을 가져 소규모 설비를 위한 간단한 구성부터 수백 개의 장치가 연결되는 대규모 스마트 팩토리까지 모든 곳에 동일한 스위치를 적용할 수는 없다.
한드림넷은 폭넓은 라인업으로 소규모 설비부터 특수 목적의 네트워크까지 다양한 환경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설계된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한다. 특히, 국내 유일의 1588v2 PTP TC(Transparent Clock) 기능 제공으로 정밀 시각동기화가 가능해 국산 산업용 스위치 최초로 국가 핵심 기반 시설의 SCADA망에 고객의 선택을 받으며, 외산 장비가 독점해 온 시장을 새롭게 개척했다.
ISG 산업용 보안스위치에는 연결된 모든 장치가 마이크로초(µs) 단위까지 동일한 시간 정보를 공유하게 하는 초정밀 시각동기화 기술이 적용돼, SCADA 시스템 전체의 데이터 무결성과 제어 정확성을 보장한다.
[엄호식 기자(eomhs@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