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 대전시 소방본부에 따르면, 인원 170여명과 소방차 등 차량 63대를 투입해 오전 6시 30분경 큰 불길을 잡았다. 현재 연기를 빼는 배연 작업에 주력하고 있다.
이로써 전날 오후 8시 20분경 대전 유성구 화암동 국가정보자원관리원 5층 전산실에서 무정정전원공급장치(UPS)에 쓰이는 리튬이온 배터리 폭발로 발생한 화재는 9시간 50분 만에 일단 진압했다.

▲26일 오후 8시 20분께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에서 리튬배터리 화재가 발생, 소방당국이 진화작업을 벌이고 있다.[자료: 연합]
대량의 물을 투입하면 국가자원 데이터가 훼손될 우려가 있어 이산화탄소 등 가스소화설비를 사용해 진화에 시간이 걸렸다.
불길이 재점화되자 결국 배터리를 분리해 방수 작업을 했으나, 최소한의 물만 사용해 화재 진압에 어려움을 겪었다.
내부에 있던 192개 리튬이온 배터리 팩은 이미 상당 부분 연소한 상황이다.
피해 규모 파악이나 복구 작업은 화재가 완전히 진압된 후에 시작할 수 있어 현재로선 정확한 서비스 정상화 시점이나 핵심 데이터 유실 여부 등은 알기 어려운 상황이다. 배터리만 연소한 것인지, 시스템 자체도 피해를 입었는지도 확인이 필요하다.
이번 화재는 배터리 교체 작업을 위해 전원을 차단하던 도중 발생했다. 이 과정에서 작업하던 업체 직원이 얼굴과 팔에 1도 화상을 입었다.
이 화재로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 본원에 입주한 정부 서비스가 중단됐다. 모바일 신분증과 국민신문고 등 1등급 12개, 2등급 58개 시스템이 영향을 받은 것으로 행정안전부는 파악했다.
행안부와 기획재정부 등 정부 부처 홈페이지와 정부 온라인 민원서비스 ‘정부 24’가 장애를 보이고 있다.
[한세희 기자(boan@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