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안뉴스 강현주 기자] “정확한 정보가 없습니다. 국방부에 문의하시면 답 주실 것입니다.”
14일 대통령실 브리핑에서 강유정 대변인의 말이다. 최근 ‘김수키’ 추정 해킹 그룹이 대한민국 주요 정부 부처를 해킹했다는 국내외 보도들에 대해 입장을 묻는 외신 기자의 질문에 대한 답변이다.
이날 브리핑에 참석한 영국 가디언의 라포엘라 시드 기자는 “북한 해킹그룹 김수키 관련해 유출된 데이터를 통해 외교부와 통일부, 행정안전부, 방첩사 등 정부 기관들이 해킹 표적이 됐다는 주장이 나왔는데 이에 대해 정부 대응이나 입장 있는지 궁금하다”고 질문했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이 14일 현안 브리핑을 하고 있다. [자료: 연합]
이에 강유정 대변인은 “북한 해커 그룹이 우리 정부 해킹했다는 뉴스 있는데 어떻게 생각하냐는 질문인가. 그 부분에 대해서는 제가 정확한 정보가 없다. 아마 국방부에 대해서(국방부에 이에 대해서) 물어보시면 좀 더 자세한 답을 주지 않을까 싶다”라고 답했다.
9일 <보안뉴스>는 국가정보원이 북한 또는 중국 배후 추정 해킹 그룹이 행정안전부, 외교부, 방첩사 등 주요 정부 기관과 국내 통신사를 해킹한 사실을 인지해 해당 정부 부처들에게 긴급 대응령을 내렸다고 단독 보도한 바 있다.
이번 해킹이 세계에 공개된 것은 한국 시간 8일 밤 비영리기관 DDOS시크리츠(DDOSecrets, Distributed Denial of Secrets) 사이트에 게시된 ‘APT Down: The North Korea Files’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통해서다.
다만 취재에 따르면 국정원은 이 보고서가 공개되기 전에 이미 해킹을 인지해 대응에 나섰다.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역시 미리 인지해 해킹 타깃이 된 통신사들에게 대응령을 내렸다.
<보안뉴스> 보도 이후 다크리딩, 테크크런치 등 해외 주요 외신들이 이 보고서에 대해 보도하며 큰 관심을 보였다. 이후 국내외 언론들에서도 보도가 급속도로 확산됐다.
최근 SK텔레콤 유심 해킹 사태와 SGI서울보증 및 예스24 랜섬웨어 사태 등 국민 생활에 밀접한 디지털 인프라를 겨냥한 대규모 공격이 잇따른 가운데, 정부 핵심 부처마저 북한 또는 중국 배후 해커 그룹에 공격당한 사실이 드러나며 사이버 안보에 대한 위기감이 커진데 따른 것이다.
이런 가운데 13일 국정기획위원회가 발표한 123개 국정과제에는 보안 정책이 빠져있었다. 이어 14일 브리핑에서 보인 대통령실의 반응에 보안 분야 종사자들은 아쉬움을 표하고 있다. 안보에 직결되는 사이버 공격에 대한 경각심이 부족한 것 아니냐는 반응이 주를 이룬다.
보안 업계 한 전문가는 “국정과제에도 사이버 보안은 빠져있고, 사이버안보비서관도 계속 공석이다”라며 “세계가 관심을 갖는 김수키 공격이라는 뉴스에 대한 대통령실 반응을 볼 때 국가 사이버 안보에 너무 태평한 것 아닌가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고 말했다.
[강현주 기자(jjoo@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