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후 맞춤형 감식 서비스 확장 기대해”
[보안뉴스 조재호 기자]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은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화재 원인을 감정하는 AI 기반 단락흔 원격감정 플랫폼 ‘ATRIP’(AI-based Short-Circuit Trace Remote Investigation Platform) 개발해 전국 지방 경찰청에 배포하고 본격 운영한다고 27일 밝혔다.

[자료:국과수]
경찰은 ATRIP을 통해 화재·사고 현장에서 촬영한 단락흔 영상과 이미지를 촬영해 실시간으로 국과수 감정의뢰를 진행할 수 있다. AI를 통해 1차 판별된 결과는 국과수의 단락흔 원격감정 담당관이 최종 검토를 거쳐 감정서를 생성한다.
단락흔이란 화재·사고 현장 등에서 발견되는 전기 시설물의 단락(합선) 흔적을 말한다. 이는 화재 원인을 판단할 수 있는 주요 현장 증거물 중 하나로 꼽힌다. 그동안 단락흔 판별은 3~4주의 기간이 소요됐는데, 이번 시스템 적용으로 앱을 통해 수 시간 내 감정 결과를 받아볼 수 있다. 또, 반복적인 감정 절차를 자동화해 국과수 감정 인력을 보다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향후 국과수는 단락흔뿐 아니라 화재 현장에서 국과수의 감정이 필요하다고 의뢰되는 다양한 흔적 판별에 대해서도 AI 자동 감정 기능을 확장할 계획이다. 이번 ATRIP부터 시작되는 원격·자동 감정은 안전사고 전 분야에 걸친 감정을 진행해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과학수사의 혁신으로 자리매김한다는 계획이다.
이봉우 국과수 연구원장은 “원격감정 플랫폼은 수사 현장에 직접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실용적인 AI 활용 사례”라며 “앞으로도 수사기관의 의견과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감정 서비스를 강화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조재호 기자(sw@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