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심구역 간 클라우드 연계 네트워크 구축 방안 논의
[보안뉴스 조재호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25년 데이터안심구역 운영협의체’를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에서 개최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협의체는 데이터안심구역 정책의 추진방향을 공유하고 기관 간 운영 성과 교류 등을 위해 매년 개최되고 있다.

▲과기정통부는 25일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에서 데이터안심구역 운영협의체를 개최했다. [자료: 과기정통부]
데이터안심구역은 데이터산업법에 따라 과기정통부 장관과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이 ‘데이터안심구역 지정 및 운영에 관한 지침’ 및 ‘데이터안심구역보안대책에 관한 기준’에 따라 민감한 미개방 데이터를 기술적·관리적으로 보호하면서 AI개발 등에 필요한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는 공간을 말한다.
올해는 최근 과기정통부가 추진 중인 데이터안심구역 제도와 활성화 성과 및 계획을 소개하고, 지정기관별 운영 현황과 향후 계획을 공유하는 등 다양한 논의가 이어졌다.
특히, 관계 법령상 이용에 제약이 있는 원본데이터를 규제샌드박스 제도와 데이터안심구역를 연계 활용한 교통카드 원본 데이터 개방 사례와 함께, 산업부 및 국토부와 데이터안심구역을 연계해 정부·공공기관이 보유한 공개제한 공간정보와 소재데이터를 AI개발 등에 활용한 부처 협력 성과도 공유했다.
그동안 분절적 운영으로 AX 확산에 제약이 있었던 데이터안심구역의 접근성 개선을 위해 클라우드를 통한 연계 네트워크 인프라 구축 방안에 대한 의견도 청취했다. 또, 올해 10월 예정인 데이터안심구역 공동경진대회 추진 방안과 함께 기관 간 상호 제공할 데이터 범위에 대해서도 논의했다.
김경만 과기정통부 인공지능기반정책관은 “데이터안심구역 운영협의체를 통해 데이터안심구역 간 유기적 협력과 소통이 지속적으로 활성화되길 바란다”며, “AI 경쟁력 강화를 위해 다양한 고수요·미개방데이터가 가치 있게 활용될 수 있도록 관계부처와 협력해 데이터안심구역이 활성화되도록 적극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조재호 기자(sw@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