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안뉴스 강현주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배경훈)와 경찰청(청장 직무대행 유재성)이 2030년까지 360억원의 예산을 투입, 인공지능(AI)을 통한 치안 혁신에 나선다.
양측은 21일 경찰청 어울림마당에서 ‘치안현장 맞춤형 연구개발’(폴리스랩3.0) 신규과제 착수보고회를 개최했다.

[자료: 과기정통부]
폴리스랩은 치안을 뜻하는 폴리스와 리빙랩의 합성어로, 국민·공공기관(경찰·과기정통부)·연구자가 협력하여 치안 현장의 문제를 발굴·연구·실증하는 연구개발 사업이다.
앞선 폴리스랩1.0 및 사업의 성과물인 △보이는 112 긴급신고 지원 시스템 △스마트폰 지문 식별·신원확인 시스템 △112 정밀탐색 시스템 등이 이미 치안 현장에 보급돼 활용되고 있다. 올해부터 2030년까지 약 360억원이 투입될 ‘폴리스랩3.0’의 추이가 더욱 주목된다.
사업 첫해인 올해엔 △인공지능 기반 교통사고 분석 시스템 △인공지능기반 범죄현장 3D 재구성 기술 △경량 혼합형 방검·베임 보호장비 등 3개 과제 연구를 개시한다.
특히 이번 연구에서는 AI 기술을 국민 생활과 밀접한 교통사고 현장과 범죄 수사의 출발점인 현장 감식 분야에 활용한다. 블랙박스, 현장 사진 등 단편적 정보를 종합해 사고 당시 상황을 3차원 입체로 재현해 교통사고 분석·처리를 효율화한다. 자칫 놓쳤을지 모를 범죄 단서를 AI가 능동적으로 탐지해 현장 감식을 지원할 예정이다.
‘경량 혼합형 방검·베임 보호장비’ 과제도 실시한다. 최근 5년 간 불시 현장 피습이 2082건 발생하는 등 경찰 보호장비의 필요성이 매우 높다. 하지만 현재 안면 보호장비가 부재하고 팔 부위 보호장비는 베임 방지 기능만 있는 상황이다. 이에 현장 경찰관을 보호하기 위한 방검 안면·목 보호대와 방검토시를 개발하고 한국형 방검 기준도 마련할 예정이다.
이날 착수보고회에는 함께 연구개발을 추진하고 있는 과기정통부 관계자와 연구기관이 참석했다. 향후 연구 추진 계획을 공유하고 일선 현장에 보급하기 위해 필요한 협력 방안 등을 논의했다. 특히 교통·과학수사·장비 등 담당 부서와 연구기관은 별도 실무회의를 갖고 향후 현장 맞춤형 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실무협의체를 구성했다.
정택렬 과기정통부 공공융합연구정책관은 “첨단기술을 통해 국민 안전과 직결된 치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치안 현장과 협업을 확대하고 있다”며 “과학기술이 국민 안전을 지키는 든든한 버팀목이 되도록 현장 중심 연구개발을 지속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최주원 경찰청 미래치안정책국장 치안감은 “2018년 과기정통부와 공동으로 기획한 ‘폴리스랩’은 이제 명실공히 우리나라 과학치안을 대표하는 브랜드로 자리잡았다”며 “인공지능 등 빠르게 발전하는 기술을 치안 현장에 효율적으로 접목해 국민 안전을 확보하고 국내 치안 산업 생태계가 조성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강현주 기자(jjoo@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