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약 시설물 2만 2884개소 대상 민·관 합동 안전점검 시행
[보안뉴스 엄호식 기자] 행정안전부는 오는 6월 13일까지 중앙부처와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 그리고 국민이 함께 참여하는 ‘2025년 집중안전점검’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행정안전부 로고 [자료: 행정안전부]
정부는 매년 집중안전점검을 통해 안전에 취약한 시설물을 선제적으로 점검하고, 잠재적 위험 요소를 사전에 제거하고 있다.
행정안전부는 본격적인 점검 돌입에 앞서 지난 4월 11일 이한경 재난안전관리본부장 주재로 ‘2025년 집중안전점검 관계기관 대책회의(27개 중앙부처, 17개 시·도, 10개 공공기관 등 참여)’를 개최하고, 기관별 점검 계획과 위험 요소 조치 방안을 논의했다.
올해 점검 대상은 총 2만 2884개소(중앙부처 6247개소, 지자체 1만 6637개소)로, 사고 우려가 크거나 국민적 관심이 높은 시설물(다중이용시설, 숙박시설, 공사현장, 요양시설 등)을 중심으로 선정됐으며, 국민이 ‘안전신문고’를 통해 직접 점검을 신청한 시설물도 포함됐다.
점검에는 민간 전문가가 반드시 참여해 전문성을 높이고, 접근이 어렵거나 정밀 점검이 필요한 시설물에는 드론, 초음파 탐사기, 열화상 카메라 등의 첨단 장비를 활용해 철저히 점검할 계획이다.
또한 점검 결과는 모바일 앱을 통해 현장에서 실시간 등록함으로써 점검의 효율성을 높이고, 위험 요소가 발견될 경우, 경미한 사항은 현장에서 즉시 시정하고, 보수·보강이나 정밀안전진단이 필요한 경우에는 응급조치 후 신속한 후속 조치를 진행한다.
아울러, 점검 기간동안 지자체와 지역 주민이 함께 참여하는 ‘자율안전점검 캠페인’도 전개해 안전문화 확산에 힘쓸 예정이다.
이한경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은 “올해 집중안전점검을 통해 재난·사고 발생 가능성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도록, 위험 요소를 발굴하고 조치하는데 민·관의 역량을 집중하겠다”라고 말했다.
[엄호식 기자(eomhs@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