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테스트배드와 데이터센터, 생활형 인프라 갖춘 신도시 구축할 민관 협력 투자 시급”
[보안뉴스 조재호 기자] 한국형 스마트시티 구현은 인공지능(AI)·로봇 중심의 미래도시 생태계 조성에서 시작한다. 이를 위해 국가적 차원에서 민관 협력을 독려할 투자와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AI 스마트시티 세미나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자료: 한국인공지능협회]
지난 26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AI 스마트시티 세미나’에서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논의가 이뤄졌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AI 도시 구현을 위한 정책 방향과 과제 △로봇 기반의 도시 전환과 산업 생태계 구축 전략 △스마트시티에서 AI도시로의 전환 및 인프라 구축전략 △AI 기반의 공공건물 스마트 안전관리 방안 등의 주제 발표가 진행됐다.
AI 기반 공공건물의 스마트 안전관리 방안을 발표한 최윤미 기술사는 “도시 안전이 기술·비용·인력 측면에서 기존 방식으로 한계가 있다”며 “AI와 IoT, 디지털트윈 등 신기술 기반의 스마트 안전 체계 구축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AI 기반 도시의 법제적 정비를 강조한 이세연 국토연구원 부연구위원은 국토교통부 중심의 ‘도시AI 법률 제정’의 필요성을, 로봇 기반 도시 전환을 주제로 발표한 에드워드 양 인천시 미래도시총괄은 ‘차세대 도시모델로 교통부터 물류, 돌봄,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로봇이 일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도시’라고 소개했다.
또, 발표자들과 함께 세미나를 공동 주최한 박민규 국회의원과 김건훈 한국인공지능협회 상근부회장, 산업계 관계자와 학계 전문가들이 참석했다. 이들은 신기술 기반의 도시 정책·기술·생태계 전환 방향에 대한 토론을 펼쳤다.
정락헌 인공지능정책원장은 “AI 테스트배드와 데이터센터, 생활형 인프라 등 핵심 기반을 신도시 중심으로 구축하는 데 국가 차원에서 협력을 독려할 투자가 시급하다”며 “정부·기업·학계·기술전문가들이 함께 정책과 기술 실행의 균형을 맞추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조재호 기자(sw@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