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부터 실시간 온라인 질의응답 방식 도입 등 혁신제품 심사 관리체계 강화
혁신제품 임차·R&D·해외실증·ODA 등 지정부터 판로까지 원스톱 전방위 지원
[보안뉴스 엄호식 기자] 조달청(청장 임기근)은 27일 서울지방조달청 PPS홀에서 공공성과 기술 혁신성을 인정받은 26개의 혁신제품에 대해 지정서를 수여했다.

▲조달청이 3월 27일 26개의 혁신제품에 대해 지정서를 수여했다[자료:조달청]
혁신제품으로 지정되면 최대 6년 동안 수의계약 가능, 조달청 예산으로 시범구매(실증 테스트) 지원, 구매 면책, 구매목표 비율과 우선구매 제도 등 공공판로 확보를 위한 다양한 혜택을 받게 된다.
2019년 이후 지금까지 총 2,320개의 혁신제품이 지정됐으며, 특히 작년 한 해 1조원의 실적을 달성하며 공공문제를 해결하는 데 크게 기여하고 있다.
최근 조달청은 기후위기 대응, 탄소중립, 저출생 고령화 등 경제 사회구조 변화에 대응해 전략적 조달을 강화하고 있다. 특히, 혁신제품은 기술혁신을 통한 사회난제 해결을 통해 전략조달에 앞장선다.
조달청은 기술력과 경쟁력을 갖춘 혁신제품들의 개발, 지정이 지속될 수 있도록 심사, 관리체계 개편 등 적극행정을 펼치고 있다. 올해 혁신제품 평가부터는 실시간 온라인 질의응답 방식을 새롭게 도입해 혁신제품 심사전문성을 강화할 계획이다. 평가위원들이 심사 과정에서 질의를 온라인으로 등록하고 기업들은 차세대 나라장터 시스템을 통해 사무실에서도 적정 시간을 갖고 이를 응답할 수 있도록 해, 시공간적 제약을 없애는 동시에 충분한 질의응답을 통해 심사과정을 질적으로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와 함께 조달청은 혁신제품 기업들이 공공판로를 통해 성장하고 해외조달시장으로 도약하기 위한 전방위 지원을 강화하고 있다.
특히 올해는 임차방식의 시범구매 도입, R&D와 해외실증 확대, ODA 신규 도입 및 지원 확대 등 지원분야와 범위가 대폭 확대됐다. 또한, 기업들의 현장 목소리를 반영한 규제리셋을 통해 혁신기업들의 성장과 도약에 부담이 되는 규정과 규제는 전면 재검토할 계획이다.
임기근 조달청장은 “기업들이 기술혁신에 전력을 다할 수 있도록 혁신생태계를 조성해 주는 것이 정부가 해야 할 책무”라면서 “올해부터 임차, R&D, 해외실증, ODA 등 혁신기업이 더욱 성장할 수 있도록 사업도 확대했다”고 강조했다.
이어 “앞으로도 규제리셋을 포함해 중소․벤처기업들이 기술개발을 통해 도전․성장하고, 해외로 도약해 민생경제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도록 모든 역량을 동원하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26개 신규 혁신제품은 다음과 같다.

▲26개 신규 혁신제품[자료:조달청]
[엄호식 기자(eomhs@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