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28일 서울 광화문에서 ‘소비자·시민단체 개인정보 정책간담회’를 열고, 주요 개인정보 이슈에 소비자와 시민단체가 참여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IP 카메라 같은 IT 기기의 개인정보 처리 현황 파악 및 분석, 개인정보 처리방침 평가, 개인정보 침해 요소 공동 모니터링 등이 주요 협업 대상이다. 앞으로 소비자·시민단체와 논의를 거쳐 협업 방식을 구체화할 예정이다.

▲고학수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위원장이 27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출입기자단 정례브리핑을 하고 있다. [자료: 연합뉴스]
이번 간담회는 인공지능(AI)과 디지털 전환에 따른 프라이버시 침해 우려를 해소할 방안에 대해 소비자·시민단체의 의견을 듣고, 개인정보위와 시민사회가 정보주체 권익 강화를 위해 협업할 수 있는 과제를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민주사회를위한변호사모임, 소비자시민모임, 소비자와함께, 진보네트워크센터, 참여연대 등 개인정보 관련 소비자·시민단체 인사 5명이 참여했다.
참석한 소비자·시민단체 관계자들은 “AI 개발·서비스를 위한 개인정보 처리 과정에서 개인정보 보호와 정보주체의 권리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며 “개인정보 침해 구제 수단의 실효성 확보를 위해 노력해 달라”는 의견을 밝혔다.
고학수 개인정보위 위원장은 “개인정보 보호는 정부기관이나 기업만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 구성원 모두가 함께 힘을 합쳐야 하는 과제”라며 “앞으로 소비자·시민단체와 소통·협력을 강화해 신뢰할 수 있는 개인정보 보호 환경을 만들겠다”라고 밝혔다.
[한세희 기자(boan@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