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안뉴스 박미영 기자] 특허청은 지난 1일 솔트룩스 본사(서울시 송파구)에서 성공적인 초거대 인공지능(AI) 기반 특허심사 업무 지원 서비스 개발을 위한 착수보고회를 개최했다.
이번 착수보고회는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관하고,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이 추진하는 ‘2024년 초거대 인공지능(AI) 기반 서비스 개발 지원 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됐다.
특허청은 공공 부문 인공지능(AI) 일상화와 디지털플랫폼정부 실현을 가속화하기 위해 추진하는 이번 사업에 솔트룩스·젠아이피와 연합체(컨소시엄)를 구성해 공모에 참여했고, 10:1 이상의 경쟁을 뚫고 최종 선정됐다.
착수보고회에는 특허청 이인수 산업재산정보국장, 솔트룩스 김민종 부사장, 젠아이피 정종구 대표 등이 참석했다. 이날 착수보고회에서는 초거대 인공지능(AI) 기반 특허심사 업무 지원 서비스 개발 세부 사업 내용을 공유하고 연합체(컨소시엄) 수행기관 간의 협력 사항에 대해 논의하는 자리를 가졌다.
특허심사 업무 지원 서비스는 법령과 특허청이 보유한 심사기준, 조문별 해설, 상담사례집, 출원인 의견서 등 특허 관련 데이터와 솔트룩스가 개발한 초거대 언어모델 루시아(Luxia)를 결합해 구현된다.
이를 통해 인공지능(AI)이 심사관에게 특허심사 관련 정보를 그 출처와 함께 빠르게 제공해 심사정확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주요 개발 내용은 △심사관의 심사 관련 질문에 답변을 제공하는 심사정보 묻고답하기(Q&A) 서비스 △심판관의 심결 판단 지원을 위한 인공지능(AI) 심·판결문 검색 서비스 △특허검색식을 추천하는 AI 특허 검색 서비스 △심사 절차 중 제출된 출원인의 의견서 요약 서비스로 이뤄진다.
특허청은 충실한 개발 과정과 시험을 거쳐 올해 12월 초거대 인공지능(AI) 기반 특허심사 업무 지원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특허청 이인수 산업재산정보국장은 “현재 출원량 증가, 기술 발전에 따른 심사난도 증가 등으로 특허청의 심사 업무는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며, “앞으로도 인공지능(AI)을 활용해 심사 업무환경을 개선하고 심사효율성을 높여 우리 기업이 신속한 특허 확보로 세계적인 특허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지원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박미영 기자(mypark@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