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관 협력 플랫폼...정책 제언 및 기술개발 촉진
[보안뉴스 한세희 기자] 양자 시대 사이버보안 위협에 선제 대응하고 기술 혁신을 선도하기 위한 양자보안포럼이 출범했다.
양자보안포럼은 25일 1차 양자보안포럼 및 출범식을 갖고,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원장을 지낸 이원태 국민대 특임교수를 회장으로 선출했다. 이 회장은 국가인공지능전략위원회 보안TF 리더이기도 하다.
AI와 6G 통신 등 융합 시대 미래 서비스를 안심하고 쓸 수 있기 위해 필수적인 양자 보안 전략을 논의하고 협력 방안을 모색하는 플랫폼 역할을 한다.

▲양자보안포럼이 25일 서울 광화문에서 출범식을 가졌다. [자료: 보안뉴스]
최근 양자 컴퓨팅 등 양자 기술이 급속히 발전하며 AI, 보안, 신약 개발, 소재 설계 등 다양한 분야에 혁신을 불러올 것으로 기대된다. 하지만 고성능 양자 컴퓨터의 등장은 기존 암호체계를 무력화시킬 수 있다는 우려를 낳고 있다.
미국 등 주요 국가들은 최근 민감한 국가 시스템을 중심으로 양자내성암호(PQC) 적용을 시작, 2035년까지 모든 시스템을 PQC로 전환하는 로드맵을 수립해 진행 중이다. 우리나라 역시 2035년까지 국가 암호체계를 PQC 기반으로 전환하기 위한 종합 마스터플랜을 마련했다.
이러한 변화에 대응해 양자와 6G, AI 등을 융합한 보안 전략을 만들어 가기 위한 민관 및 산학연 거버넌스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양자보안포럼은 양자기술 시대 사이버안보 선도국가 실현을 위한 민관 협력 플랫폼을 구축한다. 양자컴퓨팅 시대에 대응한 안전한 디지털 혁신을 뒷받침하고, 양자보안 기술과 산업을 육성해 국가 사이버안보 역량을 강화한다.
이를 위해 산학연관 참여로 정보 공유와 협력을 강화하고, 양자보안 정책을 발굴하고 제도 개선에 기여한다는 목표다. 양자키분배(QKD)나 PQC 등 핵심 양자보안 기술 개발을 촉진하고, 국제협력과 인재 양성을 통해 생태계 조성을 지원한다.
이원태 회장은 “양자 기술엔 기회와 도전 양면의 모습이 있다”며 “AI 보안의 여러 이슈도 결국 양자를 통해서 해결될 것이고, 이런 것에 대응하는데 포럼이 중요한 역할을 하리라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날 행사엔 이원태 회장을 비롯해 최소영 부회장(보안뉴스 대표), 박종환 상명대 교수, 김종성 국민대 교수, 김창오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 정보보호 PM, 오진영 KISA 본부장, 박해룡 KISA 단장, 권대성 국가보안기술연구소 실장 등이 참석했다. 홍진배 IITP 원장, 이옥연 국민대 정보보안암호수학과 교수, 최정식 보안뉴스 회장 등이 고문으로 참여한다.
또 손기종 KISA 차세대암호기술팀장이 ‘양자내성암호(PQC) 전환 기술 및 주요국 정책 동향 시사점’을 주제로 발표했다.
양자보안포럼은 매달 포럼을 개최하며 양자보안 최신 이슈를 소개하고 기술 및 정책 동향 등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한세희 기자(boan@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