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안뉴스 박미영 기자]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지난 18일 북한의 산림공간정보 구축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공간정보 분야 전문가 초청 세미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국립산림과학원은 남북 산림 협력을 위한 정책 마련을 위해 기초자료인 북한 산림의 산림실태 모니터링을 1999년부터 10년 주기로 수행해 왔다.
위성영상 분석을 통해 북한의 산림 현황을 과학적으로 파악하고 있으며 북중 접경지역, 남북접경·DMZ 일대, 산사태·산림병해충 피해지 등 직접 조사할 수 없는 지역에 대한 분석 정확도 향상과 새로운 분석 방법 적용 방안 등을 모색하고 있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서울대 건설환경공학부 김용일 교수가 ‘고해상도 위성영상 기반 북한 기본공간정보 추출을 위한 딥러닝 프레임워크 구축’에 대해 발표하고, 북한의 산림공간정보 구축에 활용·적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토의했다.
김용일 교수는 발표를 통해 북한의 공간정보 구축을 위해 데이터를 군집·분류하는 핵심 기술인 딥러닝을 활용한다면 접근이 어려운 북한 산림의 경계·구획·변화탐지를 보다 정확하고 수월하게 분석할 수 있을 것이라 강조했다.
국립산림과학원 국제산림연구과 김명길 과장은 “접근 불능지역의 공간정보를 확보하고 구축하기 위해서는 머신러닝·딥러닝 등의 AI(인공지능) 기법 적용과 활용이 중요하다”며, “북한의 기본 공간정보 분석은 북한 산림 내 임도·양묘장·목재사업소·마을과 같은 인프라를 더욱 수월하게 분석할 수 있어, 북한의 산림 복구를 위한 남북 산림 협력 방안 마련에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했다.
[박미영 기자(mypark@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