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도 국방부, KISA, 대한적십자사, 한국전력기술 등에서 예산규모 큰 사업 진행
[보안뉴스 권 준 기자] 2021년 공공부문 정보보호 관련 수요 규모가 최종 확정됐다. 지난해 11월 예상치에 이어 3월 18일 최종 확정치가 발표되면서 공공수요 확대에 기대를 걸고 있는 보안업계의 관심이 커지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정보보호 관련 내용이 포함된 사업금액은 총 1조 2,456억 원(전년대비 4,227억 원, 51.4% 증가)이며, 해당사업 내 정보보호 관련 투자·구매 예산은 6,939억 원으로 조사됐다.

▲2021 국내외 보안시장 전망보고서[자료=보안뉴스]
이에 본지에서는 지난 2월 발간된 <2021년 국내외 보안시장 전망 보고서>에 분석된 내용을 토대로 각 분야별 2021년 공공 구매 수요를 예산 규모 순으로 간추려 소개한다.
<보안뉴스>와 <시큐리티월드>가 실시한 ‘2020/2021 보안시장 조사’에 따르면 2020년 네트워크 보안 솔루션 시장규모는 4,689억원으로 조사됐다. 또한 2021년에는 4,992억원, 2022년에는 처음으로 5,000억원을 넘어선 5,105억원을 달성할 것으로 예상됐다.
정보보호 시장의 선봉으로 꼽히는 네트워크 보안은 방화벽(웹/네트워크), 침입방지 시스템(IPS), 디도스 차단 시스템, 가상사설망(VPN), 네트워크 접근제어(NAC), 무선 네트워크 보안, 망분리(가상화) 등 다양한 솔루션으로 구성되어 있다. 문제는 사이버위협이 갈수록 정교해지고 다양해지면서 이를 막으려는 보안제품 역시 복합적일 수밖에 없었고, 결국 서로의 영역을 침범해가며 성능을 강화할 수밖에 없었다는 점이다. 바로 ‘차세대(Next Generation)’이다. 이렇듯 네트워크 보안 분야는 기능 융복합을 통한 차세대 제품군이 화두가 되고 있다.
무엇보다 네트워크 보안 시장은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환경’에서 가장 큰 수혜를 입은 분야 중 하나다. 특히, 비대면을 위한 기업들의 ‘재택근무’나 학교 등 교육기관의 ‘온라인 수업’이 활성화되면서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최우선적으로 고려하는 분야로 손꼽혔다. 이에 올해 네트워크 보안 분야의 공공부문 수요도 크게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네트워크 보안 솔루션 수요는 SW 구매와 ICT장비 구매, 두 분야에서 발생하는데, 2021년 보안 SW 구매에서 네트워크 보안 부문은 111건에 76억 9,648만 7,676원이며, ICT장비 구매 분야에서 네트워크 보안 부문은 211건에 448억 7,373만 6,698원이다. 즉, 2021년 공공분야에서 구매할 네트워크 보안 제품은 총 525억 7,022만 4,374원이다. 보안 SW 구매 및 ICT장비 구매 분야에서 각각 5개씩 예산규모 순으로 뽑아본 네트워크 보안 사업 TOP 10은 다음과 같다.
[네트워크 보안 SW 구매 예산 규모 TOP 5]
1. 한국전력기술/ 보안 SW/ 13억 4,103만원
2. 우정사업본부/ 서버접근제어/ 9억 9,900만원
3. 정부청사관리본부/ 망분리시스템 고도화/ 6억원
4. 한국남부발전/ 망간자료 전송시스템 교체 및 망연계 시스템 보강/ 3억 6,200만원
5. 공영홈쇼핑/ 방화벽/ 2억 3,925만원
[네트워크 보안 ICT장비 구매 예산 규모 TOP 5]
1. 국방부/ 암호장비사업/ 208억 2,697만원
2. 한국인터넷진흥원/ 악성코드 탐지 시스템/ 50억원
3. 대한적십자사/ 노후 보안장비 교체/ 14억 4,100만원
4. 경찰청/ 지능형정보보호시스템(정보화장비기획)/ 9억 3,518만원
5. 경기도청/ 네트워크 보안시스템 고도화 사업 및 상황실 영상회의시스템 고도화 사업/ 7억 1,937만원
한편, 공공부문 네트워크 보안 수요를 비롯해 공공부문 정보보호 수요를 분야별, 예산규모별로 모두 정리한 전체 리스트는 <2021년 국내외 보안시장 전망보고서>에서 자세히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이번 보고서에서는 사이버보안시장과 물리보안시장의 2020년 시장규모 및 2021년·2022년 예측치는 물론, 2021년 보안시장에서 주목해야할 ‘핫 키워드(HOT KEYWORD) TOP 10’을 소개해 앞으로 보안산업 및 솔루션 발전방향을 제시했다. 아울러 ‘보안뉴스 선정 2021 주요 사이버보안 솔루션’과 ‘시큐리티월드 선정 2021 주요 물리보안 솔루션’을 바탕으로 각 산업을 이끌 핵심 솔루션을 소개하는 한편, 현재 산업별 시장 현황과 산업별 사용자들이 가장 선호하는 기업을 조사해 발표했다.
<2021 국내외 보안시장 전망보고서>는 현재 보안뉴스 웹사이트 내 관련 배너를 통해 구입 및 문의가 가능하다.
[권 준 기자(editor@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