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 지방재정관리시스템’은 전국 243개 전 지방자치단체·33만 지방공무원들이 예산 편성과 지출·결산 등에 사용하는 시스템으로, 2023년까지 총 1,017억을 투입해 2024년 1월 2일 완전 개통을 목표로 추진한다. 이번 차세대 지방재정관리시스템은 4가지 전략과제 구현에 역점을 둔다.
첫째, 지방재정 업무 혁신(과제1)은 재정 업무 처리와 사업 관리를 위한 시스템을 구축해 재정정보의 품질을 높이고 단절된 업무 프로세스를 연결해 사용자의 불편을 해소한다.
둘째, 신규 지방보조금시스템 구축으로 지방재정(예산 편성, 집행) 기능을 공동 활용해 공모·사업 수행·집행/정산·사후관리에 이르기까지 보조사업 전 과정 관리 및 보조사업 검증 체계를 마련(과제 2)한다. 이를 통해 국가와 지방 간 보조금 중복·부정 방지 체계가 마련돼 각종 부정수급 행위에 효과적인 대응을 할 수 있게 된다.
셋째, 인공지능(AI)·빅데이터 기반 재정 정책 결정·상담 서비스·로봇프로세스자동화(RPA) 기반 업무 자동화 등 최신 디지털 신기술 적용으로 지능형 업무환경 구현(과제3) 서비스를 제공한다.
넷째, 주민생활에 밀접한 맞춤형 사업정보의 제공을 위해 ‘지방재정365’를 통한 재정정보 공개를 확대하고 사용자 중심의 서비스 제공을 위해 주민참여예산 플랫폼 등을 제공(과제4)하게 된다.
재정정보 공개로 지역주민이 직접 예산 사업 편성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가 확대되고, 자치단체와 거래하는 사업자들은 행정기관 방문 없이 온라인으로 대금 등을 청구할 수 있게 된다.
행안부는 대규모 예산이 투입되고 전 지방자치단체와 주민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사업인 만큼, 243개 자치단체·민간 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정책협의회 등을 통해 정책 방향과 세부 추진 방안을 지속적으로 협의해 나갈 계획이다.
안병윤 추진단 단장은 “차세대 지방재정관리시스템 구축 사업은 디지털 지방재정 혁신을 위한 핵심 기반 인프라를 준비하는 것”이라며, “시스템은 개발 초기 단계부터 사용자 수요와 서비스 제공 관점에서 충분히 의견을 수렴해 개발에 착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박미영 기자(mypark@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