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I=화웨이]
[보안뉴스 원병철 기자] 화웨이가 5G 표준화 정립에 참여하는 조사위원을 가장 많이 배출하고 표준화 관련 제안 및 연구활동을 가장 활발하게 하는 업체라는 연구조사 결과가 나왔다. 시장조사기관 옴디아(Omdia)는 지난 2015년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3GPP(이동통신 표준화 협력기구)가 주도하는 5G 표준화 정립에 참여하는 5G 통신장비 업체들의 조사위원 수와 WI(Work Item, 제안서) 및 SI(Study Item, 연구서) 제출 수를 분석한 ‘3GPP 기여도 분석’ 보고서를 발간하며, 화웨이가 모든 부문에서 1위를 기록해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리더에 선정됐다고 밝혔다.
3GPP에서 활동하는 조사위원은 제안서 및 연구서를 선정하고 기술 평가와 기술 규격의 뼈대를 만들며 실제 기술 개발을 주도한다. 통신 장비업체 및 이동통신사들의 연구개발(R&D) 척도로 평가받는 제안서 및 연구서는 3GPP 승인을 거쳐 5G 표준을 구성하는 주요 기술 항목이 된다.
화웨이는 2015년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조사 대상 업체들 중에서 가장 많은 총 81명의 조사위원을 배출했다. 특히, 5G 상용화가 시작된 2019년 한 해에만 최근 5년 중 가장 많은 31명의 조사위원이 배출됐다. 이들은 RAN(무선접속네트워크), SA(서비스 및 시스템 측면), CT(코어네트워크 및 단말) 등 3GPP 기술 분과에 참여하며 5G 표준화 정립에 기여했다.

▲세계 5G 통신장비 업체들이 배출한 3GPP 5G 표준화 정립 참여 조사위원 수(2015년~2020년 상반기)[자료=화웨이]
화웨이는 2015년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조사 대상 업체들 중 가장 많은 31,791건의 5G 관련 WI 및 SI을 3GPP에 제출하고 이 중 14,494건을 승인 받았다.
또, 화웨이는 △5G V2X(차량·사물통신) △LTE V2X △NB-IoT(협대역 사물인터넷) △3GPP 릴리즈16 △URLLC(초고신뢰·저지연·통신) △슬라이싱 등 차세대 기술 부문에서도 기여도 1위 업체에 이름을 올렸다.

▲5G 제안서 및 연구서 제출/승인 수[자료=화웨이]
한편, 화웨이는 지난해 1,317억 위안(약 22조 4,800억원)을 포함, 최근 10년간 6,000억 위안(약 102조 4,200억원)을 R&D에 투자했다. 화웨이가 보유한 특허 수는 85,000건 이상에 이른다.
[원병철 기자(boanone@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