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안뉴스 박미영 기자] 광주광역시가 빛공해 방지를 위해 한국광기술원과 협업으로 기획한 ‘IoT(사물인터넷) 기반 빛공해 측정·통합조회서비스 실증 검증’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혁신성장동력 실증·기획 사업에 최종 선정됐다.

[사진=광주광역시]
이에 따라 주관기관인 이즈소프트와 참여기관인 에스피에이치, 한국광기술원, 한국건물에너지기술원(이하 빛공해 컨소시엄)은 2020년 12월까지 총 8억1,000만원의 정부출연금을 지원받아 광주 전역을 대상으로 빛공해 측정·통합조회시스템의 실증 검증을 진행한다.
이 시스템은 차량에 빛측정장비를 설치해 시 전역을 이동하면서 야간 조명을 측정하고, 동시에 서버에서는 측정 결과를 자동으로 분석하고 지리정보체계(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기반 빛공해 지도로 제작한다. 또 결과는 모바일 기기 등을 통해 조회가 가능하도록 할 예정이다.
시는 이번 개발 시스템 및 서비스에 대한 실증 검증이 완료되면 전국 17개 광역자치단체로의 확대 보급과 사업화가 이뤄질 수 있도록 공공 조달 연계, 우수 성과 홍보 등으로 빛공해 컨소시엄을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시는 그동안 빛공해 저감을 위해 서울시에 이어 전국 두 번째로 조명환경관리구역을 지정하고 빛공해환경영향평가 실시 등 ‘인공조명에 의한 빛공해 방지법’ 정착을 위해 힘써왔다.
송용수 시 환경정책과장은 “광주는 명실상부한 빛의 고장 ‘빛고을’로, 이번 사업을 통해 ‘좋은 빛도시’의 모범 대상이 되는 계기로 삼겠다”고 말했다.
[박미영 기자(mypark@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