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는 전기차 5만대 시대를 눈앞에 두고 있는 상황에서, 전기차 이용에 필수적인 충전인프라의 현황과 이용자들이 겪는 불편 사항들을 점검해 전반적인 개선 방안을 마련했다.
이번 개선 방안에 앞서 환경부가 올해 9월 국민 2,600명을 대상으로 전기차 충전인프라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전기차 불편 요인으로 충전 불편 충전기 부족(55.8%)과 충전기 사용불편 요인으로 긴 충전시간(46.3%)이 각각 1위에 꼽혔다. 이번 개선 방안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누구나 찾기 쉽고 충전이 용이하도록 우체국·공공도서관·경찰서 등 공공시설을 중심으로 충전인프라를 확대하고 충전시간 단축을 위해 고용량 고속의 급속충전기(기존 50kW급→ 100kW급)가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보급(2018년 100kW급 고속충전기 1,070기 구축 중)된다. 이용률이 높은 충전소에 다수의 충전기를 설치해 충전 수요가 몰리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기다림 없이 충전을 할 수 있도록 개선할 예정이다.
둘째, 환경부는 안전한 사용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전기차 충전기 사후 관리를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 충전기 점검 횟수를 강화(월 0.45회→ 1회)하고, 전기차 이용자들과 협업해 고장·불편 사항의 상시 신고체계를 구축한다. 또한, 고장률이 높은 구형 충전기를 신형으로 단계적으로 교체하거나 신형 충전기를 추가 설치해 충전 환경을 개선하기로 했다.
마지막으로 실사용자를 고려해 사용자 편의성을 제고할 예정이다. 충전기 공동 사용 환경(로밍서비스) 조성, 결제 방식 다양화, 충전인프라 정보 제공 강화 등 실사용자의 중심의 서비스를 확대하기로 했다. 구체적으로는 한 장의 회원카드로 환경부 8개 충전사업자의 충전기를 공동으로 사용(2018년 10월∼)하고, 민간 기업의 포인트로 전기차 충전요금 결제(2019년 1월∼)하며, 주요 포털의 지도·내비게이션에 충전기의 실시간 운영 정보 제공(2018년 10월∼)한다.
박천규 환경부 차관은 “이번 개선 방안을 통해 국민들이 충전기를 사용하면서 겪었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기를 기대하며, 앞으로도 충전기의 편리한 사용 환경 조성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박미영 기자(mypark@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