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안뉴스 박미영 기자] 그동안 정부 부처 등의 기관 소식이나 정책연구기관 링크 등 단순 정보만을 제공해 정보 검색에 불편함이 많았던 정부서비스통합포털 ‘정부24’의 ‘정책정보’가 국민편의 중심으로 확 달라진다.

[이미지=정부24 홈페이지]
행정안전부는 ‘정부24’(www.gov.kr)의 ‘정책정보’ 분야를 전면 개편해, 정부부처·지방자치단체·공공기관 등 개별 사이트에서 분산 제공되던 정책정보를 한곳에서 원문까지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시범 서비스를 개시해 정보 이용의 편의성을 대폭 강화했다. 이에 따라 ‘정부24’의 ‘정책정보’에서는 정부의 정책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국가정책연구포털(nkis.re.kr), 온나라정책연구(prism.go.kr), G-Zone(gzone.kr), 정책브리핑(korea.kr) 등 4대 대형 웹사이트를 연계해 뉴스, 정책보고서 등 57만여건의 정책정보를 이용할 수 있게 됐다.
이번에 ‘정책정보’ 개편을 통해 이용할 수 있는 내용은 다음과 같다.
각급 국책연구기관의 성과물 공유 시스템인 ‘국가정책연구포털’과 정부부처와 공공기관의 연구 용역 등 정책연구보고서 공개 시스템인 ‘온나라정책연구’ 연구보고서 6만여건이 제공된다. 정부가 발행하는 모든 디지털 간행물을 포괄하고 있는 ‘G-Zone(정부간행물)’의 디지털 정부 간행물 18만여건도 포함된다.
이 밖에도 정부의 정책뉴스 포털인 ‘정책브리핑’에서 제공하는 정책 관련 뉴스 33만여건을 ‘정부24’에서 모두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정부24’의 정책 관련 다양한 정보는 뉴스·연구보고서·간행물로 구분돼 제공되며, 최신 자료로 매일 갱신될 예정이다.
또한 ‘정부24’는 국민들이 손쉽게 광범위한 정책정보를 이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 편의를 대폭 강화했다. ‘정부24’에서 제공하는 정부(민원) 서비스와 달리 별도 인증 없이 정책정보를 쉽게 이용할 수 있다. 특히 개별 사이트에 방문하지 않고도 ‘정부24’에서 원문 자료를 바로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신설해 자료의 접근성을 대폭 개선했다. 이를 통해 국민들은 정책이 만들어지고 집행·평가되는 전 과정의 정책정보를 손쉽게 알아볼 수 있게 됐다. 이와 함께 원하는 자료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정부 기능 분류에 따른 주제별 분류를 제공하고, 핵심어(키워드) 검색·연계기관별 검색·기간별 검색 기능을 새롭게 만들었다.
앞으로는 정부정책을 입안하고 집행하는 공무원, 정책 관련 분야 종사자, 교수 및 학생은 물론 정부 정책의 수립과 집행 과정이 궁금한 일반인들까지도 누구나 원하는 자료를 쉽게 이용할 수 있게 됐다. 정책정보 연계는 이번 4대 웹 사이트를 시작으로 2020년까지 97개 웹 사이트로 연계를 확대할 계획이다.
김부겸 행정안전부 장관은 “흩어져 있던 정책정보를 통합해 원문까지 국민들께 제공함에 따라 국민의 알권리 보장은 물론, 정부 정책의 투명성이 획기적으로 높아지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국민의 관점으로 국민과 함께’라는 정부 혁신의 철학에 맞게 ‘정부24’의 모든 서비스를 국민의 입장에서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국민이 필요한 서비스를 발굴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박미영 기자(mypark@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