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검 신청 대상은 사용승인 후 30년 이상된 노후 조적조(돌, 벽돌, 콘크리트 블록 등으로 쌓아 올려서 벽을 만드는 건축)로서 10층 이하·연면적 1,000㎡ 이하인 소규모 건축물이며, 아파트와 연립주택은 제외된다.
신청 방법은 30일까지 찾아가는 안전 점검을 희망하는 건축물 소유자 또는 관리주체가 서울시 홈페이지 상단의 배너를 클릭해 성명, 연락처, 건물 개요(주소, 용도, 층수, 연면적, 사용승인년도), 신청 사유 등을 작성해 제출하면 된다. 점검 신청자가 많을 경우에는 신청 건축물 중 오래된 건물(사용승인연도 기준) 등에 대해 먼저 점검을 실시한다.
구조 분야 외부전문가가 직접 현장을 방문, 건축물 상태를 육안 점검해 외부 균열 발생 등 안전 취약 건축물 여부를 판단하고 취약 건축물로 판단될 경우 추가 정밀 점검을 실시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정밀점검을 통해 판명된 위험 요인에 대해서는 신청자에게 구조체 보수·보강, 유지 관리 방안 등을 안내해 노후 건축물을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정비구역 지정 10년 이상 경과된 182개 구역 내의 소규모 노후 건축물에 대한 안전 점검도 시행한다. 50년 이상 벽돌조, 30년 이상 블록조를 우선 점검 대상으로 각 자치구별 구청장 주관하에 조합과 전문가 참여로 단계별 점검을 실시할 예정이다.
점검은 1단계 건축물대장 서류 및 현장 확인, 2단계 전문가 및 조합 합동 육안 점검, 3단계 정밀 점검(노후 불량 및 위험 발견 시), 4단계 정밀 안전 진단(보수보강 필요시) 순으로 실시된다. 안전 점검 후에는 단계별 안전등급(우수, 양호, 보통, 미흡, 불량)을 부여하고 소유자에게 단계별 안전 조치를 안내할 예정이며, 점검 결과 미흡·불량인 경우 구청장이 소유자와 협의해 시설의 사용제한·금지 또는 퇴거와 철거 조치한다.
한편, 서울시는 사고 발생이 우려되는 대형 공사장 주변 노후 건축물의 안전위해 요인 발견 및 안전 조치를 위한 표본 안전 점검을 지난 8일부터 시작해 22일까지 2주간 실시한다.
점검 대상은 대형 공사장 주변(학교 주변 공사장 포함)의 4층 이하로서 40년 이상된 건축물 총 90개소이며, 시는 건축구조기술사·토질기초기술사 등 외부 전문가 40명과 안전총괄본부 및 자치구 직원 60명으로 총 100명의 점검반을 편성했다.
주요 점검 사항으로는 △주요 부재의 구조적 균열과 변형 △건축물의 부등침하 △건축물 축대·옹벽의 안전 상태 등이며 건축물과 관련된 전반적인 위험 요인을 고려해 종합적으로 점검을 실시할 예정이다.
점검을 통해 경미한 안전 우려 사항 또는 보수·보강이 필요한 사항은 소유자(관리자)에게 조치방안을 상세히 안내하고, 위험도가 높을 경우 정밀안전진단 실시 요청 등 인명 피해 및 재산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한 조치를 강력하게 추진할 계획이다.
고인석 서울시 안전총괄본부장은 “외부 전문가와 함께하는 안전 점검을 통해 정비구역 및 정비구역으로 지정되지 아니한 일반지역의 노후 조적조 건축물 및 대형 공사장 주변 노후 건축물의 안전 위험 요소 및 개선 사항 등을 제시해 노후 건축물의 안전 관리를 유도하고 재난 관리에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박미영 기자(mypark@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