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VE-2018-7556, CVE-2018-7557
[보안뉴스 문가용 기자] 현지 시각으로 2월 27일, 우리나라 시간으로는 대략 27일에서 28일로 넘어오는 밤 사이에 미국의 National Vulnerability Database을 통해 발표된 취약점들이다.
.jpg)
[이미지 = iclickart]
1. CVE-2018-7554
sam2p 0.49.4 버전의 input-bmp.ci의 ReadImage의 취약점으로 조작된 입력값을 통하여 DoS 공격을 감행할 수 있게 해준다.
2. CVE-2018-7477
PHP Scripts Mall School Management Script 3.0.4 버전의 SQL 인젝션 취약점으로 Username과 Password 필드를 통하여 공격이 가능하다.
3. CVE-2018-7482
Joomla!의 K2 요소 2.8.0 버전의 취약점으로 공격자가 임의의 파일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게 해준다.
4. CVE-2018-7556
LimeSurvey 2.6.7 이전의 2.6.x 버전, 2.73.1 이전의 2.7x.x 버전, 3.4.2 이전의 3.x 버전의 application/controller/InstallerController.php의 취약점으로 원격의 공격자가 환경설정 파일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해준다.
5. CVE-2018-7557
FFmpeg 3.4.2까지 버전의 libavcodec/utvideodec.c의 decode_init 함수의 취약점으로 원격의 공격자들이 DoS 공격을 감행할 수 있도록 해준다.
[국제부 문가용 기자(globoan@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