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안뉴스 박미영 기자] 우리나라에서 교통량이 가장 많은 도로는 어디일까? 1위는 평일 16만1741대/일(평균)의 교통량이 발생한 강남대로(한남IC→한남대교)로 나타났다.
특정 도시 특정 도로에서의 차량이 하루 몇 대나 또 시간대별 얼마나 다니는지 알고 싶다면, 빅데이터 기반 교통량 추정 기술을 통해 누구나 쉽고 빠르게 알 수 있다.
.jpg)
[사진=국토교통부]
국토교통부와 한국교통연구원은 공공 부문 교통량 빅데이터와 민간의 내비게이션 빅데이터를 융합해 교통량 자료가 수집되지 않는 도로까지의 교통량을 추정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민간의 내비게이션 빅데이터는 현대엠엔소프트에서 제공하는 2015년 1년치 내비게이션 데이터 활용(87억건/년, 예로 한 대 차량이 10개 링크를 통행했다면 10건)했다.
기존 현장 조사의 경우 전국 도로 대비 교통량 수집량이 3%에 불과했으나, 이제 미관측 도로 교통량 추정알고리즘과 전국 단위 빅데이터 처리 기술을 통해 기존 조사의 시간과 예산의 제약을 극복하고 전국 95% 도로의 교통량을 확인할 수 있게 됐다.
또한 기존에 인력식 현장 조사를 통해서만 수집할 수 있었던 회전교통량에 대한 교통량 추정기술을 개발해, 교차로에서의 방향별 교통량을 보다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됐다.
이를 통해 교통량 자료를 수집하지 않는 지자체에서도 지역의 교통 현황을 파악하는데 큰 도움이 되며, 국가 교통 정책 전반에 유용한 기반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관심 도시와 도로에 대한 추정 교통량이 궁금하다면 ‘View T 1.0’ 온라인 홈페이지(viewt.ktdb.go.kr)를 통해 누구나 확인할 수 있다.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빅데이터는 분야를 넘어서 공유할수록 이용 가치가 증대한다”며,“향후 사용자의 의견을 반영해 대중교통 이용량까지 포함하는 플랫폼을 만들 계획이며, 이를 통해 대규모 SOC 투자 사업 지원은 물론 소규모 교통 개선 사업까지 교통 빅데이터가 활용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박미영 기자(mypark@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