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VE-2017-5963, CVE-2017-5964
[보안뉴스 문가용 기자] 현지 시각으로 2월 11일, 우리나라 시간으로는 대략 11일에서 12일로 넘어오는 밤 사이에 미국의 National Vulnerability Database을 통해 발표된 취약점들이다.
.jpg)
1. CVE-2017-5960
Phalcon Eye 0.4.1까지의 버전에서 발견된 취약점으로 phalconeye-master/public/external/pydio/plugins/editor.webodf/frame.php URL으로 전달된 HTTP GET 매개변수의 데이터 공급 과정에서 발생한다. 공격자가 임의의 HTML 및 스크립트 코드를 브라우저 내에서 실행할 수 있도록 해준다.
2. CVE-2017-5961
ionize 1.0.8까지의 버전에서 발견된 취약점으로 ionize-master/themes/admin/javascript/tinymce/jscripts/tiny_mce/plugins/codemirror/dialog.php URL로 전달된 HTTP GET 매개변수의 경로의 데이터 공급 과정에서 발생한다. 공격자가 임의의 HTML 및 스크립트 코드를 브라우저 내에서 실행할 수 있도록 해준다.
3. CVE-2017-5962
contexts.wurfl 0.4.2 이전 버전에서 발견된 취약점으로 /contexts_wurfl/Library/wurfl-dbapi-1.4.4.0/check_wurfl.php URL로 전달된 HTTP GET 매개변수의 force_ua로 데이터를 공급하는 과정에서 발생한다. 공격자가 임의의 HTML 및 스크립트 코드를 브라우저 내에서 실행할 수 있도록 해준다.
4. CVE-2017-5963
caddy 7.2.10 이전 버전에서 발견된 취약점으로 caddy/Resources/Public/JavaScript/e-payment/paymill/api/php/payment.php URL로 전달된 HTTP POST 매개변수의 paymilToken으로 데이터를 공급하는 과정에서 발생한다. 공격자가 임의이ㅡ HTML 및 스크립트 코드를 브라우저 내에서 실행할 수 있도록 해준다.
5. CVE-2017-5964
Emoncms 9.8.0까지 버전에서 발견된 취약점으로 emoncms-master/Modules/vis/visualisations/compare.php URL의 HTTP GET 매개변수로 데이터를 공급하는 과정에서 발생한다. 공격자가 임의의 HTML 및 스크립트 코드를 브라우저 내에서 실행할 수 있도록 해준다.
[국제부 문가용 기자(globoan@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