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VE-2017-5606, CVE-2017-5858
[보안뉴스 문가용 기자] 현지 시각으로 2월 9일, 우리나라 시간으로는 대략 9일에서 10일로 넘어오는 밤 사이에 미국의 National Vulnerability Database을 통해 발표된 취약점들이다.
.jpg)
1. CVE-2017-5603
다량의 XMPP 클라이언트들의 XEP-0280 : Message Carbons의 부정확한 구축으로 발생하는 취약점으로 원격의 공격자가 사용자인척 가장할 수 있다. 이는 다양한 형태의 소셜 엔지니어링 공격으로 이어질 수 있다.
2. CVE-2017-5604
다량의 XMPP 클라이언트들의 XEP-0280 : Message Carbons의 부정확한 구축으로 발생하는 취약점으로 원격의 공격자가 사용자인척 가장할 수 있다. 이는 다양한 형태의 소셜 엔지니어링 공격으로 이어질 수 있다. mcabber 1.0.0-1.0.4와 동일하다.
3. CVE-2017-5605
다량의 XMPP 클라이언트들의 XEP-0280 : Message Carbons의 부정확한 구축으로 발생하는 취약점으로 원격의 공격자가 사용자인척 가장할 수 있다. 이는 다양한 형태의 소셜 엔지니어링 공격으로 이어질 수 있다. Movim 0.8-0.10과 같다.
4. CVE-2017-5606
다량의 XMPP 클라이언트들의 XEP-0280 : Message Carbons의 부정확한 구축으로 발생하는 취약점으로 원격의 공격자가 사용자인척 가장할 수 있다. 이는 다양한 형태의 소셜 엔지니어링 공격으로 이어질 수 있다. Xabber와 동일하다.
5. CVE-2017-5858
다량의 XMPP 클라이언트들의 XEP-0280 : Message Carbons의 부정확한 구축으로 발생하는 취약점으로 원격의 공격자가 사용자인척 가장할 수 있다. 이는 다양한 형태의 소셜 엔지니어링 공격으로 이어질 수 있다. Converse.js 0.8.0-1.0.6, 2.0.0-2.0.4와 동일하다.
[국제부 문가용 기자(globoan@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