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VE-2016-5421, CVE-2016-6597
[보안뉴스 문가용] 현지 시각으로 8월 10일, 우리나라 시간으로는 대략 10일에서 11일로 넘어오는 밤 사이에 미국의 National Vulnerability Database을 통해 발표된 취약점들이다.
.jpg)
1. CVE-2016-5408
Red Hat Enterprise Linux 6의 squid package 3.1.23-16.el6_8.6 이전 버전의 cachemgr.cgi의 munge_other_line 함수의 스택 버퍼 오버플로우 취약점으로 원격의 공격자가 임의의 코드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 취약점은 CVE-2016-4051의 불완전한 픽스로 인해 발생한다.
2. CVE-2016-5419
curl과 libcurl 7.50.1 이전 버전의 취약점으로 클라이언트 인증서가 바뀔 때 TLS 세션이 재시작하는 걸 방지하지 못한다. 이로써 원격의 공격자가 제한 기능을 우회할 수 있게 된다.
3. CVE-2016-5420
curl과 libcurl 7.50.1 이전 버전의 취약점으로 TLS 연결을 재사용하려고 할 때 클라이언트 인증서를 확인하지 않는다. 이로써 원격으 공격자가 인증 과정을 하이재킹할 수 있게 된다.
4. CVE-2016-5421
libcurl 7.50.1 이전 버전의 UaF 취약점으로 공격자가 연결망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해준다.
5. CVE-2016-6597
Sophos EAS Proxy 6.2.0 이전 버전의 취약점으로 Lotus Traveler가 비활성화 되었을 때 원격의 공격자가 임의의 웹 리소스에 접근할 수 있게 해준다. Open Reverse Proxy 취약점이 여기에 관여되어 있다.
[국제부 문가용 기자(globoan@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