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VE-2016-1928, CVE-2016-1929
[보안뉴스 문가용] 현지 시각으로 1월 20일, 우리나라 시간으로는 대략 20일에서 21일로 넘어오는 밤 사이에 미국의 National Vulnerability Database을 통해 발표된 취약점들이다
.jpg)
1. CVE-2016-1899
CGit 0.12 이전 버전에 있는 ui-blob 핸들러의 CRLF 인젝션 취약점으로 원격의 공격자가 mimetype 매개변수 내 CRLF 시퀀스를 통해 임의의 HTTP 헤더를 주입하고 HTTP 응답 스플릿 공격 혹은 XSS 공격을 할 수 있도록 해준다.
2. CVE-2016-1900
CGit 0.12 이전 버전의 ui-shared.c 내 cgit_print_http_headers 함수에 있는 CRLF 인젝션 취약점으로 저장소에서 쓰기 권한을 가진 원격의 공격자가 파일이름 안에 있는 newline 기호를 통해 임의의 HTTP 헤더를 주입하고 HTTP 응답 스플릿 공격이나 XSS 공격을 할 수 있도록 해준다.
3. CVE-2016-1901
CGit 0.12 이전 버전의 authenticate_post 함수 내에 있는 정수 오버플로우 취약점으로 원격의 공격자가 Content-Length HTTP 헤더에 큰 값을 넣어 버퍼 오버플로우를 야기할 수 있게 된다.
4. CVE-2016-1928
SAP HANA의 XS 엔진(hdbxsengine)에 있는 버퍼 오버플로우 취약점으로 원격의 공격자가 조작된 HTTP 요청을 통해 임의의 코드를 실행하거나 DoS 공격을 할 수 있게 된다. JSON, SAP Security Note 2241978과 관련이 있다.
5. CVE-2016-1929
SAP HANA에 있는 XS 엔진에 있는 취약점으로 원격의 공격자가 트레이스 파일의 로그 엔트리를 스푸핑해서 DoS 공격을 할 수 있게 해준다. SAP Security Note 2241978과 관련이 있다.
[국제부 문가용 기자(globoan@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