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VE-2015-7886, CVE-2016-0201
[보안뉴스 문가용] 현지 시각으로 1월 18일, 우리나라 시간으로는 대략 18일에서 19일로 넘어오는 밤 사이에 미국의 National Vulnerability Database을 통해 발표된 취약점들이다.

1. CVE-2015-5002
IBM Host On-Demand 11.0에서 11.0.14 버전에서 발견된 XSS 취약점으로 원격의 공격자가 임의의 웹 스크립트나 HTML을 주입할 수 있게 해준다.
2. CVE-2015-5008
IBM WebSphere Commerce 6.0에서 FP11, 6.0 Feature Pack 4, 7.0에서 FP9, 7.0 Feature Pack 5에서 8, 8.0~8.0.0.1까지에서 발견되는 XSS 취약점으로 원격의 공격자가 임의의 웹 스크립트나 HTML을 주입할 수 있게 해준다.
3. CVE-2015-5009
IBM WebSphere Commerce 6.0에서 FP11, 6.0 Feature Pack 4, 7.0에서 FP9, 7.0 Feature Pack 5에서 8, 8.0~8.0.0.1까지에서 발견되는 XSS 취약점으로 원격에서 승인된 사용자가 임의의 웹 스크립트나 HTML을 주입할 수 있게 해준다.
4. CVE-2015-7886
NetApp Data ONTAP 8.2.4P1 이전 버전에서 발견된 취약점으로 7-Mode와 HTTP 접근이 활성화될 경우 원격의 공격자가 민감한 정보에 접근할 수 있게 해준다.
5. CVE-2016-0201
IBM Security Network Protection 5.3.1.7이전의 5.3.1 버전과 5.3.2 버전에 있는 GSKit의 취약점으로 원격의 공격자가 MD5 충돌을 일으킬 때 크리덴셜을 유출시킨다.
[국제부 문가용 기자(globoan@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