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VE-2015-8037, CVE-2015-8036
[보안뉴스 주소형] 현지 시각으로 11월 2일, 우리나라 시간으로는 대략 2일에서 3일로 넘어오는 밤 사이에 미국의 National Vulnerability Database을 통해 발표된 취약점들입니다.

1. CVE-2015-8040
Samsung SmartViewer의 CNC_Ctrl 통제에서 발견된 rtsp_getdlsendtime 취약점으로 공격자가 원격에서 인덱스 값을 통해 임의의 코드를 실행할 수 있습니다.
2. CVE-2015-8039
Samsung SmartViewer에서 발견된 취약점으로 공격자가 원격에서 1)DVRSetupSave, 2)SendCustomPacket에 있는 명시되지 않은 벡터를 통해 임의의 코드를 실행할 수 있습니다.
3. CVE-2015-8038
Fortinet FortiManager 5.2.4 이전 버전의 GUI에서 발견된 다수의 XSS 취약점으로 공격자가 원격에서 (1 sharedjobmanager 또는 2) SOMServiceObjDialog를 통해 임의의 웹 스크립트나 HTML을 주입할 수 있습니다.
4. CVE-2015-8037
Fortinet FortiManager 5.2.4 이전 버전의 GUI에서 발견된 다수의 XSS 취약점으로 공격자가 원격에서 (1 SOMVpnSSLPortalDialog, 2) FGDMngUpdHistory를 통해 임의의 웹 스크립트나 HTML을 삽입할 수 있습니다.
5. CVE-2015-8036
ARM mbed TLS(전 PolarSSL) 1.3.x, 1.3.14, 2.x, 2.1.2 이전 버전에서 발견된 힙 기반의 버퍼 오버플로우 취약점으로 SSL 서버가 원격에서 긴 세션 티켓명을 통해 서비스 거부를 할 수 있습니다.
[국제부 주소형 기자(sochu@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