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인프라에 경제성·가용성 높은 보안 서비스 제공
[보안뉴스 김태형] 이니텍(대표 변준석, www.initech.com)이 지난 2월 ‘KT 클라우드의 보안 서비스 제공을 위한 시큐어존(Secure Zone) 서비스 공동협력 계약’ 체결을 통해 본격적인 ‘Secure Cloud’ 서비스 제공에 나서고 있다.
Secure Cloud 서비스는 KT의 클라우드 서비스인 유클라우드에 방화벽과 IPS장비를 구축하고 이니텍은 클라우드 인프라에 보안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SaaS(Software as a Service) 형태의 통합보안 인증 △통신/구간 암호화 △소스(Source) 암호화 △DB암호화 등 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노유변 이니텍 보안사업부문 전무이사는 “Secure Cloud는 Secure Zone 즉, KT 유클라우드의 풍부한 네트워크와 안전한 제반기술의 환경에 보안솔루션을 적용해 안전한 서비스를 제공한다”며, “클라우드 서비스 분야는 최근 IT 업계에서 주목하고 있는 분야인 만큼 Secure Zone 서비스는 클라우드 사업 분야에서 확실히 자리매김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그는 “제공되는 서비스의 질 향상에 따른 트래픽의 증가, SNS, 이메일, TV 등의 마케팅 활동에 따른 급작스런 IT 자원 필요, DDoS 공격 등 보안위협이 증가되는 시점에서 기업은 새로운 IT 시스템으로의 환경 변화를 통해 이를 극복해야 한다”며, “빠르고 유연하고 안전한 엔터프라이즈 IT 플랫폼이 필요하기 때문에 이러한 Secure Zone 서비스로 대응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Secure Cloud의 주요 기능을 보면 우선 SaaS 형태의 통합보안 인증 서비스는 클라우드 환경에 맞게 개발한 인증 솔루션으로, 개인정보보호 관련 법령 규제 준수 요건 강화에 의거한 사용자 인증 인프라 제공이 가능하다.
또한, 통신/구간 암호화 서비스는 모든 데이터에 보안채널을 적용하는 솔루션으로 현재보다 더 강화된 보안을 적용할 수 있다.
아울러 소스 암호화 서비스는 가상화 서버(VM)의 내부 소스를 암호화하여 가상화 서버의 이미지 유실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하며, DB 암호화 서비스는 가상화 서버(VM)의 DB데이터를 암호화해 저장함으로써 DB 데이터의 생성 단계부터 더욱 강력한 보안환경을 제공한다.
노유변 전무이사는 “고객들은 이러한 Secure Cloud를 도입함으로써 고객 TCO의 획기적 절감, 리소스 고갈로 인한 장애 대비, 서비스 연속성 향상, IT 자원의 유연한 확장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뿐만 아니라 금융감독원 규정을 준수하고, 모든 구간별 암호화 통신에 따라 보안성을 강화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현재 국민은행이 웹페이지의 콘텐츠 서비스(이미지, 다운로드)와 DDoS 공격 대응 서비스를 Secure Cloud에 구축함으로써 트래픽 폭증을 효과적으로 처리하고, DDoS 공격 대응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하고 있다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김태형 기자(boan@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http://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