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CNG용기 문제 해결과 안전관리 기준강화에 힘써야”
[보안뉴스 김정완] 지난 9일 서울 행당동 압축천연가스(CNG) 시내버스 폭발사고와 관련해 정부는 10일 전국 도시가스충전소에 충전 시 최고 압력을 현행 207㎏/㎠보다 10% 정도 낮추라고 긴급 지시했다. 또한 이 사건 이후 한국가스안전공사는 노후 CNG버스 522대에 대해 특별점검을 실시함은 물론 전국적으로 특별 안전대책 마련에 분주함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서울 도심에서 발생한 이번 CNG버스 폭발사고에서 드러난 것처럼 허술한 안전관리 대책과 관련기관의 무책임한 행정 등으로 인한 예견된 사고였다는 비판은 벗어날 수 없다.
이와 관련 익명을 요구한 관련기관 한 관계자는 “지난 2000년부터 종전 경유버스를 CNG버스로 교체해 보급해온 가장 큰 이유는 친환경성 때문이었다”며 “하지만 그린에너지만을 강조해 애초에 안전성은 배제된 체 보급해 온 것이 이번 사건의 원인”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이번 사건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CNG용기 문제는 이미 가스안전공사에서 비롯해 그 문제를 제기하며 안전성 문제를 몇 년 전부터 제기해 왔던 바다. 정부기관 입장에서는 단순히 녹색성장만을 강조해 보급한 실적 올리기, 그리고 경유버스에서 CNG버스로 교체하는 버스회사는 연료비가 경유버스에 비해 1/3 밖에 들지 않을 뿐만 아니라 1대당 1억원에 가까운 보조금을 받기 때문에 회사 입장에서도 손을 들어 준 것”이라고 말하고 “CNG버스 보급과 관련해 시민 안전만이 방관된 상태였다”고 말했다.
이번 사건과 관련해 정부 관계자는 “2001년 이후 전국에 2만5천여대의 CNG버스가 운행되고 있지만 운행도중에 연료통 폭발사고가 난 것은 처음”이라며 “올해 들어 가스용기 안전대책을 강화하는 관련법 제정을 이미 추진해 지난달말 입법예고를 마쳤다”고 말했다.
하지만 지난 2008년에 작성된 ‘CNG버스 사고원인 분석에 근거한 안전성 향상 방안에 대한 연구(윤재건·윤기봉)’를 보더라도, 2005년부터 최근(2008년)까지 국내의 CNG버스 사고가 3건 보고됐다. 1차와 2차 사고의 원은은 용기 결함 및 관리 결함으로 밝혀졌고, 3차 사고는 가스 누출에 의한 화재로 판명됐다.
또한 이 보고서는 “연료공급시스템에서의 누출과 타입2 저장용기의 약점이 위험요인이다. 용기의 인성이 제대로 확보되지 못한 경우 겨울철 운행 시작시 용기의 취성파열에 취약하며, 자긴처리 압력이 적절하지 않으면 인장 피로응력에 의한 용기의 피로파괴의 위험성이 있다”고 지적하고 “CNG용기의 사용 중에 누출에 대한 상시점검이 시행되어야 하고, 누출에 대한 경보시스템의 도입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사용되고 있는 용기에 대해서도 보다 심층적인 검토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에 앞선 관련기관 한 관계자는 “현재 보급된 버스에 장착된 용기는 타입2 형식의 용기다. CNG버스 용기를 타입3이나 4 용기로 도입을 검토해야 한다는 주장은 이미 오래 전부터 있어 왔지만 비용적인 부담으로 타입2 용기를 고수해 왔다”며 “비용이 들더라도 안전성을 확보하는 용기를 써야 하는 것이 시민의 안전을 확보하는 최선의 방법”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그는 “유류버스와 비교해 CNG가 그린에너지인 것은 확실하다. 하지만 거기에 안전성이 배제돼서는 의미가 없다”며 “사고 위험이 지속되고 있었다는 것을 알면서도 대책 마련에 소홀했던 정부는 늦었지만 사후약방문이 아닌 시민의 안전을 위해 용기 문제를 비롯해 유지보수 등 안전관리 기준 강화에 힘써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정완 기자(boan3@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