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말까지 세부 연구계획 확정 예정
[보안뉴스 강초희 기자] 행정안전부는 2026년도 ‘지역맞춤형 재난안전연구개발’ 과제 6개를 선정하고, 2026년부터 3년간 총 120억원(국비 96억원, 지방비 24억원)을 지원한다.

▲행정안전부 로고 [자료: 행정안전부]
지역맞춤형 재난안전연구개발 사업은 지자체 주도로 지역 내 산·학·연과 협업해 발굴한 재난연구개발 과제를 지원하는 사업으로, 2020년부터 현재까지 총 41개의 과제를 발굴·지원했다.
올해에는 12개 시도에서 34개의 과제를 신청했으며, 7월부터 서면 및 발표평가를 거쳐 최종 6개의 과제를 선정했다. 올해 선정된 과제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경기도는 싱크홀 등 지반침하 대응을 위해 기존 탐지시스템인 GPR 탐측의 한계를 보완해 탐측 우선순위 결정 지원과 지반침하 위험 및 취약인자 도출이 가능한 AI 기반 위험관리시스템을 개발한다. 이를 통해 지반 탐사 범위를 최적화함으로써 도로 유지보수 효율을 높이고, 취약지역과 도심 간 안전관리 격차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울산광역시는 충전소나 대형 배터리가 밀집된 사업장 등 고위험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외부환경 분석이 가능한 융합감지 멀티 센서, AI 기반 조기경보 시스템, 화재 배터리 자동 분리 시스템을 개발한다. 이를 통해 배터리의 비전기적·외부 변화로 인한 사고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충청남도와 전라남도는 지역 내 산업구조를 반영해 축사 화재감지 및 대응시스템(충남), 여객선 사고 시 대피경로 지원시스템(전남)을 개발하고, 호우·산불 등으로 최근 재난 피해가 컸던 전북특별자치도와 경상북도는 침수 대응 체계 통합관리시스템(전북)과 자동 산불 대응 살수 로봇(경북) 개발을 통해 피해 재발을 막기 위한 적극적인 의지를 보였다.
행정안전부는 올해 말까지 세부 연구계획을 확정하고, 2026년 상반기 사업 수행기관 선정을 위한 공모를 진행할 예정이다.
홍종완 행정안전부 사회재난실장은 “지역 특수성을 반영한 재난안전연구개발이 기존의 재난 대응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지자체의 대처 역량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라고 밝혔다.
[강초희 기자(sw@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