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증권, “中기업 겨냥한 듯...韓기업엔 위기 겸 기회”
트럼프 미 행정부가 검토 중인 특허제도 개편이 현실화할 경우 한국 기업들의 미국 내 특허 유지 비용이 9.9배로 급증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와 주목된다.
김두언 하나증권 연구원은 5일 발간한 보고서에서 “트럼프 행정부의 특허제도 개편은 한국기업에 위기와 기회를 동시에 가져다준다”며 이같이 분석했다.

▲5일 발간 하나증권 보고서 [자료: 하나증권]
현행 제도상 미국 내 특허 보유자는 다년간에 걸쳐 주기적으로 특허에 대한 ┖정액 수수료┖를 지불하는데, 그 액수는 보통 수천 달러에서 많게는 1만 달러(약 1400만원) 수준이다.
하지만 트럼프 행정부는 특허 보유자에게 각자 보유한 특허 가치의 1∼5%에 이르는 수수료를 부과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김 연구원은 “이번 특허제도 개편의 핵심은 특허의 가치평가다”며 “모형을 단순화하기 위해 특허가치를 미 특허청(USPTO)에 한해 특허권 수수료 수입의 10년치로 가정한다면 특허가치를 고려한 특허권 1건의 수수료 비용은 11만5000달러(약 1억6000만원)고, 한국기업의 수수료 인상 비용은 26억6000만 달러(약 3조7000억원)”라고 밝혔다.
작년 한 해 USPTO가 거둬들인 수수료는 총 36억5000만 달러(약 5조원), 미국 내 특허등록건수(약 32만건)에서 한국 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7.3%(약 2만3000건)였다.
이를 바탕으로 단순 계산해보면, 한국 기업이 작년 부담한 특허권 수수료는 약 2억7000만 달러(약 3700억원)다. 따라서 트럼프 행정부의 특허제도 개편이 현실화되면, 그 9.9배에 해당하는 26억6000만 달러의 비용을 물게 될 것이란게 김 연구원의 진단이다.
김 연구원은 “이러한 움직임은 세수 부족 해소를 공식명분으로 내세웠으나, 3개월 후 예정된 중국과의 무역협상에서 지렛대로 활용하려는 의도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 경우 한국기업은 경쟁자인 중국기업의 미국시장 접근이 제약되면서 특허 비용 증가에도 불구하고 통신/5G, 전자/디스플레이, AI/소프트웨어 등 시장에서 점유율 확대가 기대된다고 김 연구원은 짚었다.
다만 미국의 지적재산권(IP) 보호 강화가 미국 내 기업의 혁신 위축으로 이어질 가능성과 중국의 기술자립 가속화는 자산시장에서 주의해야 할 위험 요인으로 남아있다고, 김 연구원은 덧붙였다.
[IP전략연구소 (kdong@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