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미래국가복합안보 전략세미나’ 개최
2. 관제·통신링크 보안위협 등 우주 시스템 취약
3. 우주 사이버 안보 확립 등 안보 경쟁력 강화해야
[보안뉴스 김경애 기자] 우주 사이버안보 확립을 위해선, 자국 내 정책 노력 뿐만 아니라 ‘국제 협력’을 통한 공동 대응 강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https://www.boannews.com/media/upFiles2/2025/02/566754296_5280.jpg)
▲이재우 회장(앞줄 왼쪽 네번째) 등 미래국가복합안보 전략세미나 참석자들이 행사 후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자료: 보안뉴스]
이재우 한국우주안보학회장은 6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미래국가복합안보 전략세미나’에서 이같이 밝히고, “우주 사이버 위협은 국가 안보에 영향을 미치는 만큼 대응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대전대 안보군사연구원과 미래복합안보연구소가 공동 주최로 개최한 이날 행사에서 이 회장은 “재밍(해당 주파수 대역에 간섭 신호 방사)과 데이터 노출·분석, 비인가자 위성 신호 이용, 데이터 불법 변경 등 보안 위협이 존재한다”고 우려했다.
위성체 보안 위협의 경우, HW·SW 취약점을 악용해 공격할 수 있다. 지상체 보안 위협은 네트워크 스캐닝을 통한 취약점 공격, 서비스 거부 공격 등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게 이 회장 설명이다.
이 회장은 “우주 사이버가 발전되려면 국가 차원의 우주 사이버 보안 가이드라인 제정과 우주 사이버 보안 평가 체계 구축, 우주 시스템 해킹 테스트 환경 구축 등 체계적인 정책 수립과 국제 공조가 필요하다”고 덧붙혔다.
엄정호 대전대 안보군사연구원장 교수는 “우주 기술 발전과 우주 자산 운영 증대, 서비스가 확대되면서 우주 시스템 통신·서비스를 마비 시키는 사이버 공격이 발생한다”며 “이미 인공위성을 해킹, 위성 통신에 대한 재밍 등 우주 시스템의 사이버 공격 취약함이 입증된 바 있다”고 밝혔다.
이날 행사 주요 참석자들 역시 우주 사이버 안보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부승찬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우주 사이버 안보는 이제 국가 생존과 직결되는 핵심 과제”라며 “북한과 주변국의 군사적 우주 활용이 증대되는 등 우주 사이버 위협을 파악하고, 안보 차원에서 효과적인 대응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박인호 한국국방우주학회 공동회장은 “우주 기술에 대한 사이버 공격은 국가 핵심 인프라를 위협하고, 위성 네트워크와 데이터 무결성을 침해한다”며 “물리적 피해를 초래할 잠재성이 있다”고 진단했다.
예컨대, 해커가 국가 통신 위성을 교란하거나 GPS 시스템 마비, 정찰 위성에서 수집한 정보 왜곡 등의 혼란을 일으킬 수 있다. 이는 단순한 데이터 손실을 넘어 군사 작전 실패와 재난관리 시스템 붕괴, 금융·물류 시스템 마비 등 심각한 파장을 초래할 수 있다는 게 박 회장의 우려다.
미래복합안보연구소는 관련 국책사업 수주를 통해 우주사이버안보 분야의 연구 역량을 강화해 나갈 방침이다. 또 각 산업체 및 연구소간 컨소시엄을 구축, 기술·정책 연구를 지속 추진할 계획이다.
[김경애 기자(boan3@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