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안뉴스 박미영 기자] 행정안전부는 지난 10일부터 11일까지 이틀간 ‘제41회 지역정보화 우수 사례 발표대회’를 개최했다.
올해로 41회째를 맞이하는 ‘지역정보화 우수 사례 발표대회’는 지자체 정보화 담당 공무원이 한곳에 모여 지역정보화 우수 사례를 발표하고 공유하는 자리로, 매년 17개 시도를 순회하며 개최된다.
이번 대회는 강원도 강릉시에서 열렸으며, 전국 지방자치단체 정보화 업무 담당 공무원 300여명이 참석해 예선을 거쳐 선정된 10건의 지역정보화 우수 사례를 공유했다.
특히 올해 우수 사례 중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교통 및 민원 분야 혁신 △생활밀착형 지역문제 해결 서비스가 좋은 평가를 받았다.
공유된 10건의 우수 사례를 대상으로 현장 전문가 심사와 참여 공무원 실시간 투표를 실시했으며, 이를 종합해 최종 순위를 결정했다.
발표대회 결과, 대통령상은 ‘디지털트윈 기술을 활용한 문화재 심의 시스템 구축’을 발표한 충남도에 돌아갔다. 충남도는 문화재 보존·관리 의사결정을 뒷받침할 객관적·과학적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해 ‘지정 문화재 및 역사문화환경 보존지역 디지털트윈’을 구축해 호평을 받았다.
국무총리상에는 ‘‘한눈에 쏘옥, 두눈에 가득’ 장소와 사람을 잇는, 공간이음 북구’를 발표한 울산시가 선정됐다. 이 외에도 우수 사례로 선정된 8개의 지자체에게 행정안전부 장관상이 수여됐다. 장관상에는 서울시, 부산시, 광주시, 경기도, 충북도, 전남도, 경북도, 경남도가 수여됐다.
한편, 지난해에는 ‘취약계층 아동 급식 지원 및 비대면 플랫폼 구축’을 발표한 대구시가 대통령상을 수상했다. 대구시는 △아동급식 지원대상자 정보 확인 △카드사 데이터 연계 △예산 지급 연계 시스템 △배달앱을 통한 ‘비대면 급식 서비스’를 구축해 호평을 받았다.
발표 이후에는 초거대 AI, 클라우드 네이티브 등 최신 IT 기술을 지자체 정책에 어떻게 반영할 수 있을지 논의하는 전문가 강연과 디지털플랫폼정책 추진 현황을 공유하는 자리도 마련됐다.
이용석 디지털정부혁신실장은 “진정한 디지털플랫폼정부의 실현은 지역 디지털 혁신에서 비롯된다”며, “이번 정보화 우수 과제를 공유, 확산해 지역 디지털 혁신을 앞당길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박미영 기자(mypark@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