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um(Amit Assaraf)-

[이미지 = gettyimagesbank]
- there is는 ‘있다’라는 뜻을 갖습니다. reason은 ‘이유’나 ‘논리’, ‘까닭’이고요. 그래서 there is (a) reason은 ‘이유가 있다’는 뜻입니다.
- 그런데 가만히 살펴보면 어떤 문장에는 a가 있고, 어떤 문장에는 없습니다. 오늘의 발췌문은 없는 경우네요.
- 발췌문의 경우 ‘아직까지 이 문제를 아무도 해결하지 않았던 데에는 그럴 만한 이유가 있다’는 의미에서 there is reason이 사용됐습니다. 여기서 a reason을 사용하면 안 됐을까요?
- 이 둘은 매우 미묘한 뉘앙스의 차이를 갖습니다만, 분명히 구분되어 사용됩니다.
- 먼저 훨씬 더 많이 사용되는 there is reason은 ‘일반적인 개념에서’ 그럴 만한 이유가 있다고 말할 때 쓰는 표현으로, 이것 자체가 하나의 관용어 혹은 숙어입니다. 우리나라 말에서도 그럴 만한 이유가 있다고 했을 때, 그 이유가 딱 꼬집어 하나만 말하지 않을 때가 많지요? 여러 가지 사정이 복잡하게 얽혀 있어서 일일이 설명하기 어렵고, 하지만 이유가 있긴 있을 때 there is reason이라고 합니다.
- 반면 there is a reason은 어떤 일이나 현상에 대한 이유 한 개가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존재할 때 사용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뒤에 곧바로 그 이유에 대한 설명이 붙는 게 자연스럽습니다. a가 없는 there is reason은 뭉텅그리는 표현이기 때문에 뒤에 상세한 설명이 보통 안 붙습니다.
- 하지만 there is a reason이 문어체로서는 어떠한 경우에도 더 올바른 표현이기 때문에 글을 작성할 때는 there is a reason을 쓰는 게 더 바람직하다는 주장도 있습니다.
- 사실 뉘앙스 차이도 애매하고, 일부에서는 a reason만이 맞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는 상황이라 둘 중 어떤 것을 써도 틀리다고 지적 받을 확률은 낮습니다. 그럼에도 화자가 a를 쓰고 안 쓰고에 따라 이유의 구체성이 달라진다는 걸 인지하면 더 나은 소통을 할 수 있지 않을까 합니다.
※ 이 코너는 보안뉴스에서 발간하는 프리미엄 리포트의 [데일리 보안뉴스+] 콘텐츠를 통해 2주 빨리 만나실 수 있습니다.
[국제부 문가용 기자(globoan@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