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shington Post-

[이미지 = gettyimagesbank]
- stake는 ‘말뚝’인데, at stake라고 묶어서 얘기할 경우 바로 말뚝과는 전혀 상관 없는 말이 됩니다. 그래서 stake를 따로, at을 따로 알아두는 건 크게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at stake를 마치 한 단어인 것처럼 붙여 학습하는 게 낫습니다.
- at stake는 ‘위험에 처한’, ‘여기서 핵심이 되는 건’ 정도의 뜻입니다. ‘말뚝’이라는 단어가 어떻게 이런 뜻으로 발전했는지는 아무도 모릅니다. 저희에게는 그저 예문을 통해 익히는 방법밖에 남아있지 않은 것이죠.
- 위의 발췌문에서 at stake는 ‘여기서 핵심이 되는 건’ 혹은 ‘중요한 문제는’의 의미가 됩니다.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중요한 선거가 진행됐는데, 아직 결과가 나오지는 않았지만 가장 귀추가 주목되는 건 시릴 라마포사 대통령의 재임 여부라는 의미에서 at stake가 사용됐습니다.
- ‘위험에 처하다’는 의미로 쓰일 때 at stake는 다음과 같은 문장들에 포함될 수 있습니다.
* The fact is there┖s a lot of money at stake here, a lot more than you probably realize.
(너무 많은 돈이 여기에 걸려 있다는 게 진실이다. 당신이 인지하고 있는 것보다 훨씬 많은 돈이.)
* Or he could have hired someone, with millions at stake.
(그게 아니라면 그는 누군가를 고용할 수도 있었다. 대신 수백만 달러를 감수해야 했겠지만.)
* Thousands of lives will be at stake if emergency aid does not arrive in the city soon.
(도시에 긴급 지원 물자가 금방 도착하지 않는다면 수만 명의 목숨이 위태로워질 수 있다.)
- ‘중요한 문제는’이란 의미에서 at stake는 다음처럼 사용됩니다.
* The popular label "designer baby" effectively trivializes what is at stake in such decisions.
(‘맞춤아기’라는 대중적인 ‘딱지’ 때문에 정말 핵심이 되는 문제를 보지 못하게 된다.)
* What is at stake is the extent to which technology was responsible for the suffering of these communities.
(┖기술은 이 공동체에 어느 정도의 고통을 주고 있는가?’가 정말로 중요한 문제다.)
※ 이 코너는 보안뉴스에서 발간하는 프리미엄 리포트의 [데일리 보안뉴스+] 콘텐츠를 통해 2주 빨리 만나실 수 있습니다.
[국제부 문가용 기자(globoan@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