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보의 특허평가시스템(이하 KPAS)은 전문 평가자의 평가 데이터·평가 패턴 등을 AI 기반 빅데이터 및 딥러닝 기법으로 분석해 특허의 평가 등급과 가치 금액을 자동 산출하는 스마트 특허평가시스템으로, KPASⅠ(특허등급평가)과 KPASⅡ(특허가치평가)로 구분 운영되고 있다.
KPAS는 실시간으로 신속한 평가가 가능해 연간 2만건 이상의 특허 평가 보고서가 생성되고 있고, 대학 산학협력단과 공공연구기관 등 28개 협약기관에서 활용도가 높다. 기보는 개별 전문가의 관점과 자동 평가 결과와의 차이를 줄이기 위해 외부 사용자의 의견을 최대한 반영해 지속적으로 KPAS 고도화 작업을 진행해 왔다.
특히 기보는 그동안 축적된 박사급 인력 300여명의 평가 사례와 노하우를 AI 학습데이터로 활용해 매출 추정을 정교화하는 등 KPASⅡ의 가치 산출 알고리즘을 고도화했으며, 평가자가 개별 기업의 재무 특성을 선택 반영할 수 있도록 해 AI 기반 자동산출시스템의 획일성을 보완했다.
기보는 올해 약 6,000억원 규모의 지식재산(IP)평가보증을 신규 공급할 예정이며, 평가 절차가 간결하고 신속한 지원이 가능한 KPASⅡ를 통해 IP 우수 기업을 적극 발굴할 계획이다.
김종호 기보 이사장은 “기보의 KPAS는 2017년 국내 최초로 도입된 특허 기반 기술평가시스템으로, 수십년간 쌓아온 기보의 전문 기술평가 데이터와 AI 기술이 접목된 우수한 플랫폼”이라며, “플랫폼을 대외에 개방하고 다양하게 활용되도록 함으로써 국정 과제인 데이터 기반 디지털 플랫폼 정부 구현에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박미영 기자(mypark@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