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usiness Insider-

[이미지 = gettyimagesbank]
- cold는 ‘차갑다’, feet은 ‘발’입니다. 그러므로 get cold feet은 ‘차가운 발을 얻다’ 정도의 뜻이 될 텐데요, 이렇게만 봐서는 무슨 뜻인지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 그도 그럴 것이 이 표현은 1800년대의 어떤 소설에 갑자기 등장했기 때문에 그 소설을 모른다면 이해할 수가 없습니다.
- 독일에서 출간된 소설 중 ‘씨 뿌리는 때와 거둘 때’라는 게 있는데, 1878년 영어판(Seed-time and Harvest)이 나오면서 get cold feet의 모태 쯤 되는 표현이 처음 등장합니다. 한 등장인물이 자신의 운이 다한 것을 느끼고 포커장을 떠나는 장면에서인데, 그 때 그는 ‘카드 운도 춥고 발도 시렵다’는 말을 합니다. 여기서부터 get cold feet이라는 말이 나오는데, ‘거사를 갑작스럽게 중단한다’는 뜻으로 지금은 통용됩니다.
- 사실 이 표현의 핵심은 ‘중단한다’가 아니라 ‘깜짝 놀라다’라고 할 수 있습니다. 중단하는 건 깜짝 놀란 것에 의한 결과일 뿐이죠. 뭔가에 크게 데이거나 놀라서 원래 계획했던 것이나 지금 하고 있는 것을 어쩔 수 없이 중단해야 하는 상황에서 get cold feet을 씁니다. 단순 stop이 아니라는 것이죠.
- 위의 예문에서도 중국 정부는 온라인 게임 지불과 관련된 정책을 새롭게 발표했다가 갑자기 생각을 다시 하게 되었다는 의미에서 get cold feet이 사용됐습니다. 실제로 중국 정부는 게임 내 지불 시스템을 완전히 갈아엎을 생각이었는데(매우 중대한 결정이죠), 하루 이틀 사이에 주가가 폭등해 천문학적인 손실이 빚어지자 깜짝 놀라 자신들의 말을 번복하기 직전에 와 있습니다.
- 예문을 좀 더 보겠습니다.
* They later got cold feet and canceled the order.
(그들은 나중에가서 깜짝 놀라 주문을 취소했다.)
* He gets cold feet and phones his bank manager asking him to stop the cheque.
(그는 깜짝 놀라 자신의 은행에 전화를 걸어 수표 처리를 중단해달라고 요청했다.)
* She got cold feet when asked to sing a solo.
(그녀는 독창을 해달라는 요청에 얼어붙었다.)
* The burglar has got cold feet, when the dog started barking.
(개가 갑자기 짖기 시작하자 도둑은 꼼짝도 못할 정도로 놀랐다.)
- 물론 단순히 발이 시려울 때도 cold feet은 쓸 수 있는 표현입니다.
※ 이 코너는 보안뉴스에서 발간하는 프리미엄 리포트의 [데일리 보안뉴스+] 콘텐츠를 통해 2주 빨리 만나실 수 있습니다.
[국제부 문가용 기자(globoan@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