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rkReading-

[이미지 = gettyimagesbank]
- like는 ‘비슷하다’는 뜻입니다. 문장에 어떻게 넣느냐에 따라 ‘비슷한 것’이 되기도 합니다. for는 ‘~위해서’라고 편의상 알려져 있는데요, ‘~을 대체하는’이라는 뜻도 있습니다.
- 그래서 이 세 단어를 조합하면 ‘비슷한 것을 대체하는 비슷한 것’이 됩니다. 네, like-for-like는 바로 이 뜻입니다. 뭔가를 비슷한 것으로 대체하는 것을 말합니다.
- 위의 예문은 잼프라는 보안 업체의 분석가들이 애플 아이폰의 차단 모드를 농락하는 방법을 개발해 발표한 내용의 기사에서 발췌한 것입니다. 분석가들에 의하면 차단 모드에 대한 사용자 경험을 매우 비슷한 다른 것으로 대체한 채 물밑에서는 계속해서 공격을 할 수 있다는 것을 말하기 위해 like-for-like가 사용됐습니다.
- 비슷한 표현으로는 apples-to-apples이 있습니다. 사과를 또 다른 사과로 대체한다는 것이죠. like-for-like보다 더 닮은 것, 더 똑같은 것을 비교할 때 쓰는 표현입니다. 한 마디로 줄여서 alike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 좀 더 명확히 사용법을 알기 위해 예문을 보겠습니다.
* We will provide you with a like-for-like vehicle.
(지금 타고 계신 것과 비슷한 수준의 차량을 제공하겠습니다.)
* Performance across all sectors improved as the month progressed, with overall like-for-like growth.
(그 달 모든 분야의 성적이 비슷하게 향상됐고, 따라서 전년 대비 전체적인 성장을 기록할 수 있었다.)
* The government had said there would be like-for-like replacements.
(정부는 비슷한 인사들로의 교체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었다.)
* It would be equally difficult to find a like-for-like replacement for him.
(그와 비슷한 인물을 대체자로 내세우려면 그런 사람부터 찾아야 하는데, 어려운 일이 될 것이다.)
- like-for-like는 마케팅이나 경제 쪽에서 많이 사용되는데요, 그럴 때 like-for-like sales이라는 표현이 자주 등장합니다.
- like-for-like sales는 같은 기간, 같은 조건에서의 판매 실적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작년 1월부터 8월까지의 매출량과, 올해 1월부터 8월까지의 매출량을, 매장 수나 지역과 같은 조건을 똑같이 고정해 놓고 비교하는 것을 말하죠. 갑자기 신규 매장이 생겼다거나 해서 만들어지는 변수나 격차를 반영하지 않는 비교 기법입니다.
※ 이 코너는 보안뉴스에서 발간하는 프리미엄 리포트의 [데일리 보안뉴스+] 콘텐츠를 통해 2주 빨리 만나실 수 있습니다.
[국제부 문가용 기자(globoan@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