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비롯해 사이버보안, 인공지능, 차세대 통신, 첨단로봇·제조 미래혁신 기술 선정
사이버보안 분야 중점기술 : 데이터·AI 보안, 디지털 취약점 분석·대응(공급망 보안),
네트워크·클라우드 보안, 산업·가상융합 보안 기술 최종 확정
[보안뉴스 김경애 기자] 기술패권 경쟁에서 반드시 확보해야 할 ‘12대 국가전략기술’로 사이버보안이 선정돼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이미지=gettyimagesbank]
정부는 20일 ‘국가전략기술 선정(안)’을 심의·의결하고, 기술패권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 우리나라가 반드시 확보해야 할 기술개발 목표인 ‘12대 국가전략기술’을 확정했다.
확정된 ‘12대 국가전략기술’ 분야는 △반도체·디스플레이 △이차전지 △첨단 모빌리티 △차세대 원자력 △첨단 바이오 △우주항공·해양 △수소 △사이버보안 △인공지능 △차세대 통신 △첨단로봇·제조 △양자 등 기술패권 경쟁 핵심기술과 차세대 원자력, 양자 등으로, 미래혁신 기술을 종합해 12대 분야, 50개 중점기술을 선별했다.
이는 지난해 10월, 윤석열 대통령 주재 ‘제1차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전원회의’를 통해 공급망·신산업·외교안보 관점에서 전략적 가치가 높은 12대 분야를 선정한 바 있다. 이 기술을 중심으로 예산 집중 투자는 물론 ‘임무중심 전략로드맵’ 수립, ‘국가전략기술 프로젝트’ 등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에 더해 ‘국가전략기술 육성에 관한 특별법’ 제정·시행으로 범부처 차원의 법적 근거가 마련됨에 따라, 정부는 12대 분야를 국가전략기술로 공식 지정함과 함께 AI반도체, 합성생물학 등 정책·투자의 핵심 대상이 될 총 50개의 중점기술 및 그 세부 정의를 구체화했다.
선정된 국가전략기술은 과기정통부 장관 고시로 확정될 예정이며, 초격차 기술 확보를 목표로 특별법상 다양한 정책적 지원수단 및 혁신·도전적 연구개발을 통해 집중 육성할 계획이다.


▲정부가 지정한 ‘12대 국가전략기술’[자료=과기정통부]
그중 이번 ‘12대 국가전략기술’에 선정된 사이버보안 분야 중점기술은 △데이터·AI 보안 △디지털 취약점 분석·대응(공급망 보안) △네트워크·클라우드 보안 △산업·가상융합 보안 기술이다.
첫째, 데이터·AI 보안은 개인·기업의 중요데이터(개인정보, 산업정보)의 보호 및 안전한 활용을 위한 AI 적용 지능형 보안기술이다.
둘째, 디지털 취약점 분석·대응(공급망 보안)은 디지털 공급망 전주기를 대상으로 한 보안무결성 검증 및 사이버침해행위 대응을 위한 원점탐지·추적·복구·예방기술이다.
셋째, 네트워크·클라우드 보안은 클라우드 환경의 제로트러스트 구현 및 보안관제 지능화·차세대 통신을 위한 신뢰성·안정성을 보장하는 보안기술이다.
넷째, 산업·가상융합 보안은 정보보안·물리보안을 가상융합 환경 및 산업분야 특성에 따라 융합·적용하는 보안기술이다.
특히 사이버보안은 AI기술과도 밀접한 연관이 있어 인공지능 분야에도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인공지능 분야의 중점기술은 △효율적 학습 및 AI인프라(SW/HW) 고도화 △첨단 AI 모델링·의사결정(인지·판단·추론) △산업 활용·혁신 AI △안전·신뢰 AI 기술이다.
첫째, 효율적 학습 및 AI인프라(SW/HW) 고도화 기술은 인공지능 모델 생성·활용 과정에서 활용 데이터 규모, 소모전력 등 학습 효율성을 대폭 제고할 수 있는 최적화·경량화 관련 기술이 해당된다.
첨단 AI 모델링·의사결정(인지·판단·추론) 기술은 인공지능이 사람의 사고체계를 모델링해 맥락의 종합적 이해를 통한 종합적 인지·성장, 상식 수준의 추론 및 상호간 소통·협력·창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이다.
산업 활용·혁신 AI 기술은 기업의 손쉬운 AI 활용을 위해 코딩을 최소화한 AI 기술 및 AI 적용을 통해 산업생산성 향상을 지원하는 기술이 해당된다.
안전·신뢰 AI 기술은 AI 모델이 보편적 규범·가치 및 개인정보, 저작권 보호 등 법적 요구사항을 준수하고, 외부로부터 강건성을 확보하도록 하는 기술 및 결론·도출과정 등에 대한 설명가능성을 제고하는 기술을 말한다.
주영창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은 “초격차 전략기술 확보는 단순한 경제성장을 넘어 국가생존의 핵심”이라고 강조하며, “세계 최고에 도전하는 혁신·도전적 연구개발로 전략기술을 주도하는 국가로 발돋움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경애 기자(boan3@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