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ll Street Journal-

[이미지 = gettyimagesbank]
- shell은 ‘조개’라는 뜻으로 가장 많이 알려져 있지요. 하지만 그 외의 ┖껍데기’들도 shell이라고 합니다. 콩 껍데기, 호두 껍데기, 조개 껍데기도 전부 shell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그런 shell을 동사로 쓰면 ‘껍질을 까다’라는 뜻이 됩니다.
* She shelled and ate some nuts.
(그녀는 호두를 몇 알 까서 먹었다.)
- 하지만 shell out이라고 해서 out을 하나 붙이면 의미가 조금 달라지게 됩니다. 껍질을 까서 밖으로 내다 따위의 뜻이 아니라 ‘돈을 지불하다’ 즉 pay라는 의미가 됩니다.
- 하지만 shell out과 pay에는 중요한 차이가 하나 있습니다. shell out은 지불하긴 하되 가격이 비싸다고 생각되는 것을 마지 못해 구매할 때 사용하는 표현입니다. 이거 너무 비싼데 다른 방도가 없으니 돈을 지불하긴 한다, 이런 뜻이죠. pay는 건조하게 ‘지불한다’가 되고요.
- 위의 예문에서도 미국 소비자들이 선물 등을 사기 위해 현금을 지불하고 있다는 말을 하기 위해 shell out이라는 표현을 썼다는 게 재미있죠. 지금이 블랙프라이데이와 사이버먼데이라는 유명한 쇼핑 기간인데, 이 때 미국인들 사이에서는 서로 선물을 주고 받는 게 일종의 관습처럼 굳어가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기꺼운 마음으로 선물을 구매하는 게 아니라 억지로, 해야 하니까 하는 사람들도 늘어나고 있다고 합니다. shell out은 기자가 그런 뉘앙스를 살짝 담기 위해 선택한 표현이 아닐까 유추할 수 있습니다.
- 즉 ‘소비자들이 다소 억지로, 무리되게 현금을 지출하려는 신호들이 보인다’는 뜻으로 썼다는 것이죠. 단순히 ‘소비자들이 선물을 많이 구매하려는 신호가 보인다’는 게 아니라요.
- 물론 세상 모든 물건의 값을 지불하려면 잠깐이라도 ‘비싼 거 아닌가’라는 생각이 스치는 게 소비자들의 심리입니다. 그래서 pay나 shell out이나 구분 없이 사용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위의 예문도 기자는 별 생각 없이 ‘지불하다’는 의미로 shell out을 동원했을 수 있습니다.
- 예문을 볼까요?
* Why would people shell out $500 for an iPhone?
(500달러라는 거금을 주고 아이폰을 살 이유가 있을까요?)
* Fans were still willing to shell out for the product.
((다소 높은 가격에도 불구하고) 팬들은 제품을 살 의향이 가득했다.)
※ 이 코너는 보안뉴스에서 발간하는 프리미엄 리포트의 [데일리 보안뉴스+] 콘텐츠를 통해 2주 빨리 만나실 수 있습니다.
[국제부 문가용 기자(globoan@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