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conomist-

[이미지 = gettyimagesbank]
- 오늘의 표현은 어렵지 않습니다. pull은 ‘당기다’, plug는 ‘플러그’이니 표현을 구성하는 단어들도 쉽고, ‘플러그를 당기다’라는 뜻으로 합쳐지니 의미도 어렵지 않습니다.
- 플러그를 당긴다는 것을 조금만 상상했을 때 ‘플러그를 뽑다’라는 것을 의미한다는 걸 이해하는 데에 무지막지한 지적 능력이 요구되는 것도 아닙니다. 그리고 플러그를 뽑으면 대부분 장비들의 전원이 꺼진다는 것도 우리는 이미 알고 있습니다.
- 한국 사람들도 뭔가를 중단시키거나 멈추게 할 때 ‘코드 뽑는다’는 식으로 표현할 때가 있습니다. 대단히 흔하거나 보편적이라고 볼 수는 없습니다만.
- 그래서 오늘의 표현인 pull the plug는 ‘코드를 뽑다’ 즉, ‘중단시키다’는 의미를 갖습니다. stop이랑 비슷하죠. 다만 여기에 한 가지 주의해야 할 뉘앙스가 있어 짚고 넘어가고자 합니다.
- 작동 중인 기계를 멈추게 할 때 우리는 코드를 뽑지 않습니다. 보통은 전원 스위치를 내리죠. 코드를 뽑는 건 급할 때, 비상 시에 하는 것이 보통입니다. 장비로 공급되는 전력을 원천적으로 차단함으로써 작동을 멈추게 하는 것이니, 어지간하면 사용하지 않는 방법일 수밖에 없습니다.
- 뭔가 혹은 누군가를 멈추게 할 때 우리는 여러 가지 방법을 동원합니다. 상하 관계에 있다면 멈추라는 명령만으로 간단히 중단시킬 수 있습니다. 온 몸을 던져 강제로 멈춰 세울 수도 있습니다. 뒤에서 끌어안고 중지시킬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힘의 원천이 되는 것을 끊어버릴 수도 있습니다.
- pull the plug는 주로 힘의 원천이 되는 것을 끊어버림으로써 힘을 잃게 만들고, 그래서 결국 중단할 수밖에 없도록 하는 방법으로서 ‘멈추게 하는 것’에 가깝습니다. 요즘과 같은 세상에서는 주로 ‘돈줄’이 그 대상이 될 때가 많죠.
- 위의 예문인 이코노미스트 기사 제목도 ‘가자 지구에 대한 이스라엘의 침공을 미국이 막아설 것인가?’라고 번역이 가능합니다만, 그 이면에는 ‘이스라엘에 중단을 요구하거나 협박하는 게 아니라 돈이나 그 밖의 지원을 끊음으로써’라는 뉘앙스가 숨겨져 있습니다.
- 뒤에 on을 붙여 중단이 될 대상을 지칭하는 게 보통의 용법입니다. 예문을 보겠습니다.
* I cannot pull the plug on this project because it is quite close to my heart.
(이미 이 프로젝트에 마음이 많이 가고 있어, 지금에 와 중단하기가 어렵다.)
* You cannot pull the plug on the funds now.
(지금 재정 지원을 멈추면 안 된다.)
※ 이 코너는 보안뉴스에서 발간하는 프리미엄 리포트의 [데일리 보안뉴스+] 콘텐츠를 통해 2주 빨리 만나실 수 있습니다.
[국제부 문가용 기자(globoan@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