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onomist-

[이미지 = gettyimagesbank]
- stand는 ‘서다’, ‘버티다’, ‘그대로 유지된다’라는 뜻입니다. reason은 ‘이유’, ‘논리’, ‘이성’이라는 뜻이고, 동사로서는 ‘이유를 대다’, ‘논리 구조를 짜다’ 등의 뜻이 됩니다.
- 둘을 합하면 ‘이유/논리/근거로서 서다/버티다’라는 말이 되는데, 알듯 말듯 합니다.
- 동의어 사전을 찾아보면 다음과 같은 표현들이 나오는데, 이를 참조하면 이해에 도움이 됩니다.
* It is logical
* It is reasonable
* It is understandable
- 주로 It stands to reason that...의 형태로 사용되며, that 이후로 또 다른 문장이 나오는데요, 결국 그 that 이하의 문장이 ‘당연하다’, ‘논리적이다’, ‘이성적이다’ 등의 뜻을 말하고 싶을 때 It stands to reason이라고 말한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 위의 발췌문도 It stands to reason that의 형태로 쓰여져 있습니다. 코드 난독화를 활용하려는 개발자들이 민감하고 가치 높은 정보를 다룰 확률이 높다는 건 논리적이다/당연하다/유추 가능하다는 의미로서 It stands to reason이 사용됐습니다.
- 확실한 이해를 위하여 예문을 몇 가지 더 보겠습니다.
* It stands to reason that something else happened to her.
(그녀가 또 다른 일을 겪었음이 명백하다.)
* If 20 percent of the earth’s population has 80 percent of its resources, then it stands to reason that 80 percent of the population has only 20 percent of the resources.
(지구 전체 인구의 20%가 지구 전체의 자원 80%를 차지하고 있다면, 나머지 20%의 자원을 80%의 인구가 나눠 쓰고 있음은 자명한 사실이 된다.)
* It stands to reason that too high a workload threatens the sustainability of a farm.
(작업량이 너무 많을 경우 농장 유지가 어려워진다는 건 두말하면 잔소리다.)
- 보안 업계에서는 어떤 예문이 있을 수 있을까요?
* It stands to reason that too much focus on convenience eventually leads to security incidents.
(편리함에 너무 초점을 맞추다 보면 언젠가 보안 사고가 일어날 수밖에 없다.)
※ 이 코너는 보안뉴스에서 발간하는 프리미엄 리포트의 [데일리 보안뉴스+] 콘텐츠를 통해 2주 빨리 만나실 수 있습니다.
[국제부 문가용 기자(globoan@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