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안뉴스 박미영 기자] 국내 연구진이 캐나다의 광기반 양자컴퓨팅 관련 세계적 기업인 자나두(Xanadu)와 양자컴퓨팅 연구를 위해 힘을 모은다.

[사진=ETRI]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지난 13일 ‘자나두’와 미래 컴퓨팅 기술로 평가받는 양자컴퓨팅 및 머신러닝 연구를 위해 협력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력의 주요 의제는 ‘포토닉스 기반 양자컴퓨팅 및 머신러닝’ 분야의 기술개발이다. 계산 성능의 파괴적 혁신을 위한 컴퓨팅 원천기술 분야다. 아울러 향후 양자컴퓨팅 구현에 필요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개발, 머신러닝 활용 등에 공통 목표를 갖고 있음을 확인하고 공동 연구 및 인력 교류를 추진할 계획이다.
자나두는 미국의 구글과 중국과학기술대(USTC)에 이어 세계 3위로 양자컴퓨팅의 양자 우위를 달성했다. 현재 180명 이상의 전문가가 연구개발을 수행하고 있으며, 275M US달러 규모의 투자를 받은 글로벌 양자컴퓨팅 하드웨어 관련 선도기업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광기반 양자컴퓨팅 분야에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개발을 선도하고 있는 글로벌 기업으로 평가받고 있다.
한편 ETRI 또한 양자컴퓨터 구현을 위한 하드웨어 및 시스템 소프트웨어, 양자오류보정을 통한 결함 허용 양자컴퓨팅 등 양자기술 개발을 위한 전반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ETRI 방승찬 원장은 “이번 국제 연구 협력을 통해 우리의 양자기술이 한 단계 발전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며, “양자컴퓨팅 조기 개발 및 머신러닝 활용을 위한 연구 등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자나두 CEO 크리스천 위드브룩도 “ETRI의 연구역량을 바탕으로 양 기관이 서로 발전적인 관계가 이뤄지길 희망한다. 향후 공동 연구와 인력 교류를 바탕으로 양자컴퓨팅기술 발전에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양자컴퓨터는 고전 컴퓨터로 수행하기 어려운 문제를 효율적으로 공략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기 때문에 미래 국가 및 기업 경쟁력을 결정지을 수 있는 미래 기술이다. 구글, IBM, 마이크로소프트 등 글로벌 기업들 및 각 국가 단위에서 경쟁적으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박미영 기자(mypark@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