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BC-

[이미지 = gettyimagesbank]
- technicality는 앞에 tech라는 말로 시작해서 그런지 알듯 말듯한 느낌을 주는 그런 단어입니다. 하지만 tech와는 큰 상관이 없는 뜻을 가지고 있지요. 법이나 규정의 세부 항목을 technicality라고 합니다.
- 세부 항목이기 때문에 큰 흐름에서는 동떨어져 있다는 뉘앙스도 가지고 있습니다. 어떤 주장을 할 때, 혹은 어떤 법을 집행할 때, technicality는 그 한 중심에 있는 요소가 아니라 주변부에 불과합니다. 법 분야에서 주로 사용되는 말입니다만 어떤 규정에라도 세부 사항이 꽤나 많을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 on a technicality는 ‘핵심과 상관 없는 주변부의 규정 때문에’라는 뜻을 갖습니다. 범죄자를 수사하는 과정에서 수사관이 작은 불법 행위를 저질렀는데, 범죄자가 재판에서 이 부분을 집요하게 물고 늘어지면서 형량을 제대로 받지 않을 때(심지어 석방될 때) on a technicality라는 말을 씁니다.
- 예를 들어 한 해커가 있습니다. 국가 기밀을 정부 기관에서 훔쳐갔어요. 그리고 다크웹에 들어가서 이 사실을 막 자랑합니다. 그런데 수사권이나 사법권이 전혀 없는 보안뉴스 기자가 다크웹에 들어가 이걸 보고 그 해커에게 접근을 합니다. 그리고 소셜엔지니어링이든 피싱이든 해킹이든, 온갖 불법적인 방법으로 그 해커의 컴퓨터에 진입합니다. 그래서 도난당한 국가 기밀을 찾아냅니다. 그리고 이 해커를 경찰에 신고합니다.
- 실제 사건이 아니니 재판이 어떤 식으로 벌어질지 모르겠지만, 기자가 저지른 불법 행위들이 아무리 국가 기밀을 찾기 위한 것이었다 하더라도 문제가 될 소지가 높습니다. 그래서 기자가 벌인 수사 행위가 하나도 인정되지 않고, 그러므로 그 범인이 - 핵심은 국가 기밀 도난이 맞지만 수사 과정이 불법적이었다는 주변 규정에 의해 - 재판에서 이겨 풀려날 수 있습니다.
- 이럴 때 He/She was released on a technicality라고 말합니다.
- 위 예문에서도 독재를 이어온 캄보디아의 여당이 가장 큰 야당이 총선에 나오지 못하도록 했는데, 그 때에도 선거나 유세와 관련이 없는 주변부 규정을 근거로 삼았다는 뜻에서 on a technicality라는 말이 나옵니다.
- 이런 예문이 있을 수 있습니다.
* Know the rules properly so you do not get into trouble on a technicality.
* 규칙을 제대로 알고 있어야 사소한 것 때문에 곤경에 처하지 않을 수 있다.
※ 이 코너는 보안뉴스에서 발간하는 프리미엄 리포트의 [데일리 보안뉴스+] 콘텐츠를 통해 2주 빨리 만나실 수 있습니다.
[국제부 문가용 기자(globoan@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