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안뉴스 박미영 기자] 서울시는 산불재난 관리를 위한 인공지능 기반 드론 자동 운영(북한산, 관악산), 영상 인식 로봇을 이용한 궤도시설물 스마트 점검(서울 지하철 창동기지) 등 서울시의 안전과 시민 생활 편의를 위한 혁신 기술 ‘실증’을 위해 서울시 전역을 테스트베드로 제공하는 사업을 매년 실시하고 있다.
[사진=서울시]
서울시는 하반기 ‘테스트베드 서울 실증’에 참여할 기업을 17일부터 모집한다. 기업은 혁신 기술이 실제 현장에서 잘 작동하는지 확인하고, 서울시는 행정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술을 발굴하는 과정이다.
이번 모집의 총 지원 규모는 59억원이다. 필요한 행정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실증을 거칠 수 있도록 서울시·자치구·대학 등으로부터 40여건의 수요과제를 사전에 발굴해 공개했으며, 수요과제 외에도 기업이 자유롭게 과제를 제안할 수 있다. 시제품을 설치할 수 있을 정도인 기술성숙도 6단계 이상의 AI, 로봇, 핀테크, 디지털헬스케어 등 4차 산업혁명 분야의 핵심 기술이 적용된 과제가 대상이다.
기술성숙도(TRL) 6단계는 시제품 제작과 평가 완료 단계를 말한다. 특히 ‘동행·매력 특별시 서울’ 시정가치에 맞게 사회적 약자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돌봄로봇 테스트베드’ 공모도 함께 진행한다. 서울의료원, 어린이병원 등을 대상으로 상·하지재활, 식사보조, 정서지원 등 돌봄로봇 기술을 실증할 기업이 대상이며 돌봄로봇 분야에만 전체 지원 규모의 30% 이상인 20억원이 투입된다.
‘테스트베드 서울 실증 지원’ 사업은 4차 산업혁명 관련 혁신 기술을 보유하고 있지만 사업화와 시장 선점을 위한 ‘현장테스트(실증)’에 어려움을 겪는 기업에 서울시·자치구·대학 등 서울 전역을 테스트베드로 제공하고, 제품사업화를 위한 사업비를 최대 4억원(과제별) 지원하는 사업이다.
시는 최대 1년간의 실증을 성공리에 마친 기업에 대해서는 국내외 판로 개척에 활용할 수 있도록 서울시 명의의 ‘실증확인서(레퍼런스)’를 발급한다. 혁신 기술의 본격적인 사업화를 위해 국내외 전시회 참가, 지식재산권, 마케팅, 투자 분야의 후속 지원도 이뤄진다.
‘테스트베드 서울’에 참여하는 기업의 기술력 향상 및 사업화 지원을 위해 혁신 기술, 마케팅·투자·지식재산권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 매칭을 통해 기업이 실증 전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뿐만 아니라 기술력 향상, 국내외 판로 개척, 투자 유치, 지식재산권 보호 등에 대한 맞춤형 컨설팅을 지원한다.
시는 2018년부터 지금까지 총 138개의 혁신 기술을 선정해 지하철, 남산터널, 어린이대공원 등 250개 시정 현장에 실증 기회를 제공하고 총 481억원의 실증 비용을 지원했다. 총 138개의 혁신 기술은 사물인터넷(IoT) 42건, 인공지능 39건, 가상·강현실(VR·AR) 15건, 빅테이터 7건, 자율주행 6건, 그 외(바이오, 핀테크, 로봇, 드론 등) 29건이 선정됐다.
그간 성공적으로 테스트베드를 수행한 우수 기업들은 미국·영국·일본·중국·이탈리아·스위스·아랍에미리트·바하마 등 전 세계 39개국 진출에 성공했으며, 최근 5년간 138개 기업에서 총 1,186억원의 해외 수출과 매출이 발생했고 1,549억원의 투자유치에도 성공했다. 5년간 732억6,300만원의 공공 구매, 362억 6,600만원의 민간 납품, 91억 3,000만원의 해외 수출 등 총 1,186억 5,900만원의 매출 성과가 있었다.
테스트베드 서울 실증지원 사업은 서울R&D지원센터 누리집을 통해 신청할 수 있으며, 2023년 하반기 모집은 오는 9월 15일까지 30일 동안 진행할 예정이다.
최판규 서울시 경제정책과장은 “테스트베드 사업은 중소기업과 스타트업이 자체적으로 진행하기 어려운 기술 실증을 위해 서울시 전역을 테스트베드로 제공해 혁신 기술을 고도화하고, 사업화 속도를 가속화하는 사업”이라며, “혁신 기술이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행정의 혁신으로 이어지고, 궁극적으로 서울시민의 삶이 편리하고 안전해지도록 ‘테스트베드 서울’을 운영하겠다”고 말했다.
[박미영 기자(mypark@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