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ybernews-

[이미지 = gettyimagesbank]
- large는 크다는 의미이지만, at과 결합하여 at large가 되면 크다는 뜻은 온데 간데 없어집니다. 이 at large는 사이버 보안 관련 소식에 자주 등장하는 표현입니다.
- 주로 be동사와 함께 사용되는 이 표현은 범죄자 관련 소식에 사용되어 ‘잡히지 않았다’, ‘도망 중에 있다’는 뜻입니다. 좀처럼 잡기 힘든 범죄자 소식을 많이 다루는 보안 분야 매체의 특성상 자주 사용될 수밖에 없습니다.
- 위의 기사에서도 클롭 랜섬웨어 일당 중 개발자들이 우크라이나에서 아직 잡히지 않은 채 활동하고 있다는 뜻입니다. 이렇듯 at large는 대부분 범죄자 관련 소식에서만 보이다시피 합니다.
- 사이버 보안 분야에서는 범죄자를 특정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워낙 먼 거리에서 범죄 행위가 저질러지기도 하고, 관련성을 입증하기도 어렵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특히 보안 관련 외신에서는 at large가 많이 보입니다. 안타까운 일이기도 하고, 이 분야의 특성이기도 합니다.
- 보안 업계 내에서는 행위자가 누구인지 특정하는 게 중요하다는 의견도 있고, 부차적인 문제라는 의견도 있습니다. 전자는 ‘누구인지 알아야 미래 방어 전략을 효과적으로 수립할 수 있다’고 주장하고, 후자는 ‘일단 눈앞의 복구와 피해 최소화 작업을 하는 것이 먼저’라는 의견입니다.
- 비슷한 표현으로는 on the loose가 있습니다. at large와 거의 100% 똑같은 의미라고 생각하면 쉽습니다.
* She is at large = She is on the loose
* Clop is at large = Clop is on the loose
- 그런데 at large라는 표현 앞에 gentleman을 붙이면 어떨까요? gentleman at large라고 하면 그 자체로 ‘일정한 직업이 없는 사람’을 뜻합니다. ladies at large 이런 표현은 특수한 상황을 위해 지어낼 수는 있겠습니다만 관용어로서 굳어지지는 않았습니다. 한국말로 ‘백수’라는 표현이 영어에서는 gentleman at large인 것이고, 특별히 직업이 없는 여성을 따로 지칭하는 표현은 없습니다.
※ 이 코너는 보안뉴스에서 발간하는 프리미엄 리포트의 [데일리 보안뉴스+] 콘텐츠를 통해 2주 빨리 만나실 수 있습니다.
[국제부 문가용 기자(globoan@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